OK저축은행은 지난달 28일 ‘OK e-플러스정기예금’의 우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최소 10만원에서 최고 100억원까지 납입할 수 있는 이 상품의 기본금리는 연 3.0%지만 1년 만기를 채울 경우 1.25%포인트의 우대금리가 제공된다. OK e-플러스정기예금은 이름처럼 정기예금 상품이지만 일반 시중은행 정기예금과 달리 중도해지해도 기본금리가 제공된다. 만기 전에 해지해도 불이익이 크지 않아 마치 파킹통장처럼 쓸 수 있는 셈이다. OK저축은행의 대표 파킹통장 상품인 ‘OK세컨드통장’의 최고 금리는 연 3.3%다. 1000만원까지만 최고금리가 적용되고, 나머지 0.3%포인트는 우대금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즉 예치하려는 액수가 1000만원 이상이라면 오히려 정기예금 상품이 더 유리하다.
‘사이다뱅크’로 잘 알려진 SBI저축은행의 ‘복리정기예금’도 구조가 비슷하다. 이 상품은 만기일을 1년 이상, 2년 미만으로 설정할 경우 최고 연 4.0% 금리를 준다. 최고금리는 OK저축은행 상품과 비교해 0.25%포인트 낮은 대신 만기 전 해지하면 지급되는 기본금리가 연 3.2%로 OK보다 0.2%포인트 높다. 예치 금액의 한도가 없고 예금잔액의 50% 범위에서 1회에 한해 추가 납입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연 3.2%는 SBI저축은행의 대표 파킹통장 상품인 ‘입출금통장’과 같은 수준이다. 굳이 이 상품에 가입하지 않더라도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물론 금리 측면에서는 시중은행 정기예금 상품이 더 나을 수 있다. 현재 시중은행 가운데 최고 금리를 지급하는 상품은 신한은행의 ‘쏠편한 정기예금’으로 12개월 이상, 24개월 미만 만기 기준으로 온라인에서 가입하면 최고 연 4.35% 금리를 지급한다. 우리은행의 ‘WON플러스 정기예금’도 1년 이상, 2년 미만 만기로 스마트뱅킹에서 가입할 경우 최고 연 4.25% 금리를 받을 수 있다. 두 상품 모두 1금융권인데도 불구하고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보다 다소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이 밖에 하나은행의 ‘하나의 정기예금’은 12개월 만기 기준 최고 연 4.15%, 국민은행의 ‘KB 스타 정기예금’은 12개월 만기 기준 최고 연 3.91% 금리를 지급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29722288.1.jpg)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