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2.3兆 포쉬마크 '빅딜' 자문사 '독특하네'

입력 2022-10-05 09:03   수정 2022-10-05 16:22

이 기사는 10월 05일 09:03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네이버가 국내 정보통신(IT) 기업 사상 최대규모 거래인 2조3000억원 규모의 포쉬마크 인수를 단행하면서 이번 인수합병(M&A)를 도운 자문사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네이버를 도와 인수 작업을 마무리한 라이온트리도 국내 M&A업계에서 회자되고 있다.

네이버는 4일 미국 패션 개인 간 거래(C2C) 플랫폼인 포쉬마크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인수 대금은 총 16억달러(약 2조3441억원)로 주식 취득 예정일은 내년 4월 4일이다. 인수가 마무리되면 포쉬마크는 독립된 사업을 운영하는 네이버 계열사로 편입된다.

이번 거래에서 포쉬마크 측 재무자문은 골드만삭스가 맡았고, 법률자문은 현지 로펌인 굿윈프록터가 담당했다. 네이버는 IB로 라이온트리를 고용했고 로펌은 커크랜드앤엘리스를 썼다. 해외에서 진행된 거래인 만큼 국내 IB와 로펌의 도움 없이 현지에서 거래가 마무리됐다. 네이버에서 이번 거래를 총괄한 김남선 CFO가 몸을 담았던 모건스탠리는 지난 빅딜이었던 왓패드 인수에 이어 이번에도 고용되지 않았다.

눈길을 끈 곳은 네이버의 인수자문을 도운 라이온트리다. 주로 테크(Tech) 미디어(Media) 통신(Telecom) 분야에 특화한 미국 뉴욕 기반의 독립 IB하우스로. 2012년 UBS 출신 뱅커인 아리예 보커브(Aryeh Bourkoff) 현 CEO가 독립해 회사를 세웠다.

라이온트리는 설립 이후 아마존의 9조4000억원 규모 영화제작사 MGM스튜디오 인수 AT&T와 아폴로가 버라이즌으로부터 야후와 AOL을 인수하는 5조6000억원 규모 거래 등 테크분야 초대형 거래들을 자문하며 명성을 쌓았다. 이외에도 AT&T가 워너미디어를 분할해 디스커버리와 합병하는 거래를 도왔고 스냅의 상장(IPO), CBS와 비아콤의 합병도 이끌며 다수의 트랙래코드를 쌓았다. 미국에서 IB 입사를 지망하는 지원자들 사이에서도 "CS보단 못하지만 UBS 혹은 도이치뱅크(DB) 등 세컨티어 IB하우스보다 라이온트리에 입사하는 것이 낫다"는 평가가 나온다.

네이버는 지난해 6600억원 규모 왓패드 인수 과정에선 별다른 IB의 도움 없이 미국 로펌인 커크랜드앤앨리스와 캐나다 로펌인 스티크맨엘리오트를 선임했다.

차준호 기자 chacha@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