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은 지난달 기준 기넥신 누적 매출이 5006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발표했다. 1992년 2월 국내에 출시된 지 30년 만이다. 천연물 의약품으로 개발한 국산 혈액순환개선제가 5000억원 어치 넘게 팔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넥신은 '은행잎은 노란색'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국내에서 '푸른 은행잎' 의약품 시장을 연 제품이다. 은행잎에 들어있는 징코 플라본 글라이코사이드 성분은 혈액 점도를 낮추고 혈관 탄력을 높여준다. 혈관을 확장하는 기능도 있다. 선경인더스트리생명과학연구소는 1988년 3월 국산 은행잎 추출물 제조법 등을 개발했고, 3년 뒤 첫 은행잎추출물 의약품인 기넥신을 시장에 선보였다.
기넥신은 지난해 국내 은행잎 혈액순환개선제 시장 점유율 38%를 차지했다. 20년 째 부동의 1위다. 고용량을 복용하면 기억력 감퇴나 집중력 저하를 개선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이런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SK케미칼은 지난해 240㎎ 고용량 제품을 출시했다.
인구 고령화로 치매나 혈액순환 장애를 호소하는 고령층이 늘면서 기넥신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경쟁 제품이 잇따라 시장에서 퇴출되는 등 치매 치료제 시장이 요동치는 것도 기넥신 매출 전망에는 호재가 되고 있다. 뇌 기능개선제로 쓰이던 아세틸엘카르니틴 성분은 효과가 없다는 이유로 올해 시장 퇴출이 결정됐다. 이 약의 국내 시장 규모는 500억원 정도다. 시장규모 5000억원에 이르는 콜린알포세레이트 성분은 건강보험 보장 범위가 크게 줄었다.
기넥신 등 은행잎 추출물 시장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2017년 404억원이었던 은행잎 추출물 성분 약 시장은 지난해 566억원까지 증가했다.
전광현 SK케미칼 사장은 "기넥신을 통한 건강증진 뿐 아니라 ESG 활동을 통해 치매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