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여야가 오너 기업인 3명을 모두 국감장에 부를 계획은 없었다. 당초 국민의힘은 이번 사태의 원인을 잘 아는 실무자를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과방위 간사인 조승래 의원은 “실무책임자나 경영진을 불러선 근본적인 문제를 진단하기 어렵다”며 카카오 오너인 김 창업자를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맞섰다.
그러자 여당 과방위 간사인 박성중 의원은 이번 사태와 관계가 적은 네이버의 이 GIO를 부르자고 맞불을 놨다. “네이버도 여러 기능 장애가 있었고, 포털 등에서 많은 문제가 있다”는 이유를 댔다. 이에 민주당은 카카오 데이터 관리 시설이 있던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 대한 관리 책임을 묻는다며 최 회장까지 증인으로 요구했다. 증인 채택을 놓고 힘겨루기를 이어간 끝에 여야는 결국 오너 세 명 모두를 증인으로 채택했다.
다른 상임위원회는 카카오 계열사 CEO들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정무위원회는 서비스 중단 책임을 묻겠다며 이석우 업비트(두나무) 대표,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를 같은 날 열릴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종합감사에 부르기로 했다. 국토교통위원회는 카카오택시 시스템 오류와 관련해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를 증인 명단에 추가했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도 “먹통 사태의 핵심은 기업이 비용을 줄이느라 백업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데 있다”며 “신속히 입법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도 재난관리 기본계획 의무 대상에 카카오 등 부가통신사업자를 포함하는 내용의 방송통신발전기본법 개정안 마련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번 사태를 둘러싼 정치권의 입법 움직임이 플랫폼 기업을 향한 규제 강화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양금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카카오는) 문어발식 인수합병 및 기업공개 등 사업 확장에만 매달렸다”며 “자율 규제 원칙이 자정작용 상실로 이어진다면 정부의 관리감독 방식을 재고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민주당도 21대 국회 전반기에 논의됐던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온플법)을 들여다보겠다는 방침이다.
양길성/맹진규 기자 vertig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