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544486.1.jpg)
“외부 충격에 잘 대응할 수 있는 회복력을 갖도록 경제 체질 개선이 필요합니다.”(윤참나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국내 최고 권위의 경제학상인 ‘제41회 다산경제학상’을 수상한 이근 석좌교수와 ‘제11회 다산 젊은 경제학자상’을 받은 윤참나 교수는 17일 한국경제신문사에서 열린 시상식 후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전쟁 속에서 선택을 강요받는 한국에 이 같은 조언을 내놨다. 이 석좌교수는 특히 “일본은 (1인당 구매력지수가) 미국 대비 70% 수준에서 20년째 멈춰 있다”며 “한국은 이제 70% 수준으로 왔는데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혁신과 함께 여성 고용률을 높여 노동 공급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일본처럼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석좌교수는 “현재 시장은 중국이 크고, 기술은 미국과 서방에 의존하는 이중구조가 한국 경제의 딜레마”라며 “한국은 서방의 기술 접근을 통해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기반해 중국 시장도 존재한다는 걸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에는 한국이 중요한 기술 흡수 통로”라며 “한국이 서방의 기술에 계속 접근할 수 있을 때 중국 입장에서 한국의 가치가 커지고 우리의 협상력도 높아진다”고 했다.
윤 교수는 “미국과 중국의 공급망 경쟁으로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상당한 피해를 볼 것”이라며 “특히 첨단기술 자립화를 위한 산학 협력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윤 교수는 “원유 의존도 등을 포함한 경제 환경이 전반적으로 달라 과거와 같은 스태그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가계부채 연착륙 정책을 잘 준비해 경기 하강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가장 큰 문제”라며 “여성이 출산 후 경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여성의 노동 참여를 높이는 걸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성장의 원동력인 민간 부문이 적극적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규제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조미현/정의진 기자 mwis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