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실험에 참여한 500명(중위소득 50% 이하)의 참가자는 2025년 7월까지 총 3년간 안심소득을 받게 된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내년 7월부터 중위소득 50~85% 이하 주민 300명에게 2년간 안심소득을 주는 2단계 사업을 추진한다.
안심소득은 기존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약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기초생활보장제는 재산을 환산해 소득 기준에 맞는지 확인하기 때문에 집 또는 차가 있으면 소득이 없어도 지원받을 수 없다. 최저생활에 맞춘 소득보장과 까다로운 선정기준 등으로 인한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서울시에 따르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소득 하위 약 25%) 121만 가구 중 복지 수혜 가구는 33만 가구에 불과하다.
또 지원 대상이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마다 달라서 복잡했다. 지원금액도 1인 가구 기준 58만원으로 부족하다는 평가다. 이에 비해 안심소득은 중위소득 50% 이하에게 1인 가구 기준 월 82만원을 지급한다. 또 소득 기준과 자산 기준을 따로 선정하기 때문에 집이나 차가 있어도 소득이 낮으면 받을 수 있다.
안심소득이 저소득층이 빈곤층으로 떨어지는 악순환을 막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2015년과 2016년, 그리고 2019년과 2020년을 각각 비교했을 때 서울 기준중위소득 50~85% 저소득집단의 하향 이동 확률은 높아지고, 상향 이동 확률은 낮아졌다. 이들의 저소득 탈출률은 2019년 34.3%에서 2020년 16.7%로 급격히 줄었다. 기존 기초생활보장제 아래서 지원받기 까다로웠던 18~64세의 저소득 근로 연령층이 혜택을 볼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다만 수급자가 직접 신청해야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정책위원장은 “신청주의가 남아 있는 한 사각지대는 완전히 사라질 수 없다”며 “사회복지사의 대리 신청 등 실제 시행에서는 신청 절차를 다각화하는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