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메신저 시장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누리는 카카오톡이 지난 1년6개월 동안 2조6000억원에 달하는 광고 매출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요청해 받은 '카카오 톡비즈 매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2분기까지 카카오가 카톡 광고를 통해 얻은 매출은 총 2조5580억원으로 파악됐다.
카카오 톡비즈는 카톡 서비스를 기반으로 광고주 목적에 따라 상품·서비스를 노출하거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상품이다. 비즈보드·카카오톡 채널·이모티콘 등을 활용한 광고형, 카카오 선물하기 등 커머스를 활용한 거래형 등의 종류가 있다.
카카오 톡비즈 매출은 지난해 1조6439억원, 올해는 2분기까지 9141억원이었다. 올해 4분기까지의 매출액은 지난해 매출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톡비즈 중 카톡 메신저 화면 최상단에 노출되는 비즈보드의 경우 올해 기준으로 총 9015개 업체가 이용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서비스부터 식음료, 패션, 관공서, 금융, 건설·부동산, 게임 등 업종도 다양했다. 비즈보드 광고 업체 중 분류가 가능한 업종은 총 13개로 이 중 최다 업종은 서비스(352개)였다. 이어 식음료(286개) 패션(262개) 리빙(166개) 화장품(156개) 커머스(118개) 전자통신(115개) 관공서 등(101개) 금융(91개) 등으로 나타났다.
업종 분류가 가능한 13개 업종 업체는 20.7%(1868개), 기타 미분류 업종은 79.3%(7147개)였다.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개인사업자를 가릴 것 없이 거의 모든 업종이 카톡 광고를 이용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강 의원은 분석했다.
강 의원은 카카오톡이 출시 초기 "광고 및 유료화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으면서도 광고 사업을 시작했고 지난 8월에는 오픈채팅 광고 도입 등 광고 사업 확대 계획도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카톡 '먹통' 사태 이후 인터넷 게시판 등에서는 카톡이 지난 2012년 '카카오톡은 유료화를 할 계획이 전혀 없다. 카카오톡에 광고 넣을 공간도 없고, 쿨하지도 않고, 이쁘지도 않다. 카카오팀이 그렇게 가난하지는 않다'고 밝혔던 업데이트 공지가 입길에 오르기도 했다.
강 의원은 "국민들에게 큰 혼란과 막대한 피해를 일으켰던 이번 '카카오 먹통' 대란의 주요 원인은 카카오가 문어발식 확장과 수익 창출에만 열을 올리고 인프라 안정성 점검과 투자는 뒷전으로 미뤘기 때문"이라면서 "특히 카카오톡의 압도적 점유율을 기반으로 소비자를 묶는 '잠금 효과'로 카카오톡 이용자가 대안을 찾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해 광고 사업 확대를 통한 수익 극대화에 골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정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플랫폼 기업이 자본을 앞세워 무분별하게 사업을 확장하는 것을 제재하기 위해 플랫폼 기업에 특화된 기업결합 심사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