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600397.1.jpg)
대장동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이 곤혹스러운 상황을 맞았다. 일단 수사가 이재명 대표를 정면으로 겨냥하고 있는 만큼 손놓고 있을 수는 없다. 하지만 수사 과정에서 비리 혐의가 확인될 경우 이 대표를 엄호한 당이 떠안을 부담이 크다.
23일 잇달아 열린 조정식 사무총장과 박홍근 원내대표의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고심이 역력히 드러났다. 조 사무총장 등은 검찰 수사를 ‘야당 탄압’으로 규정하면서도 지난 21일 제안한 대장동 특별검사 수용 이외의 요구를 내놓지 못했다. 벌써부터 민주당 내에서는 이 대표 퇴진 주장이 나온다.
민주당은 25일로 예정된 시정연설 전에 윤 대통령의 사과와 대장동 특검 수용을 요구했다. 해당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윤 대통령의 시정연설 당일 본회의장 출석을 거부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다만 시정연설 보이콧이 이 대표 측근 수사 때문이 아니라 ‘국정감사 방해와 국회 무시’ 때문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시정연설 보이콧은) 이 대표 수사 문제를 떠나 국감을 방해한 압수수색이 실시된 것, 전 정부에 대한 전방위적 수사와 야당 탄압 등 전반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정부와 여당이 거부한 대장동 특검 이외에 특별한 요구를 제시하지 않은 점 등을 두고 정치권 안팎에서는 “민주당이 이 대표의 범죄 혐의가 실제로 드러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나마 새롭게 내놓은 카드인 시정연설 보이콧과 관련해서도 이 대표 수사와의 관련성을 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당일 언론 브리핑에서 “특검은 여야가 합의할 사항”이라며 다시 한번 부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벌써 이 대표 퇴진론이 나온다. 대표적 비이재명계 인사인 김해영 전 의원이 22일 SNS에 “이재명 대표님 그만하면 됐습니다. 이제 역사의 무대에서 내려와주십시오”라고 물꼬를 텄다. 한 수도권 재선 의원은 “당장은 이 대표 지키기에 힘을 쏟겠지만 사태가 장기화하면 ‘이 대표를 간판으로 내세워 차기 총선을 치를 수 있겠냐’는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했다. 대통령 시정연설 등에 지나치게 강경 대응할 경우 오히려 민심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최창렬 용인대 정치학과 교수는 “당대표 수사에 대한 당 차원의 대응이 지지층을 결집시키는 데엔 얼마간 효과가 있을 것”이라면서도 “마치 수사를 막으려 하는 것처럼 받아들여지면 더 큰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여당은 이 대표를 향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페이스북에 “이재명의 시간은 끝났습니다. 이제 그만 하십시오”라며 “이 대표는 민주당 의원들과 함께 죽겠다는 옥쇄 전략, 연환계를 고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SNS에 “대장동의 검은돈을 받았다면 이 대표가 법적·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며 “국회와 야당을 방탄용으로 악용하지 말라”고 말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