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에 사는 재외 동포들이 종종 물어오는 말이다. 달러 강세로 원화 가치가 급락하고 한국 증시도 크게 내린 데 따른 것이다. 사실 달러로 한국에 투자하기엔 좋은 시기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달러는 2000년대 초반과 1980년대 중반에 기록한 정점 수준에 달했다. 뭔가 위기가 터지지 않는다면 지금이 고점일 수도 있다는 뜻이다. 또 코스피200의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각각 8.30배, 0.83배(10월 20일 기준)까지 떨어져 미 증시에 비하면 ‘바겐세일’ 수준이다.
금융당국이 운용하는 ‘외국인 투자등록(ID) 제도’ 때문이다. 외국인 취득 한도 관리 및 거래 동향 파악을 위해 인적 사항을 금융감독원에 사전 등록하는 제도다. 시민권자인 미국 동포가 국내 주식을 사려면 한국 증권사와 ‘상임대리인 계약’을 맺은 뒤 여권이나 시민권증명서, 제한세율적용신청서, 일반투자자정보확인서를 금융감독원에 내야 한다. 그러면 1주일 정도 걸려 외국인 ID를 발급받을 수 있고, 그 이후 증권사 계좌 개설이 가능하다. 그리고 개별 주식을 사고팔 때마다 건별로 금융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이렇게 성가시다 보니 1992년 이후 운용해온 이 제도에 등록한 외국인이 작년 말 기준 5만1185명(기관투자가 포함)에 그친다.
외국인 ID 제도는 한국 증시가 MSCI선진국지수에 편입되지 못하는 이유의 하나로도 꼽힌다. 여러 개 펀드를 운용하는 외국 기관투자가가 한국에 투자하려면 펀드별로 외국인 ID를 받아야 한다. MSCI가 여러 차례 문제를 지적하자 2016년 기관투자가별로 통합계좌(옴니버스 계좌)를 허용했지만 매매 내역 신고 등 후선업무는 여전히 펀드별로 처리해야 한다.
외국인의 유가증권시장 내 시가총액 비중은 지난달 22일 30.38%까지 떨어져 10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한국 주식의 매력이 떨어진 게 가장 큰 원인이겠지만, 투자를 가로막는 행정편의주의도 한몫을 차지할 것이다. “달러를 바꿔 삼성전자 주식을 사면 어떻겠냐?”고 물었던 한 동포는 다음달 중순 한국에 들어간다. 외국인 ID를 만들려면 그럴 수밖에 없어서다. 모든 동포나 외국인 투자자가 이렇게 한국 투자에 열의를 갖고 있진 않을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