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622587.1.jpg)
“당신의 도전으로 용기를 얻었습니다. 회장님 당신이 그랬던 것처럼 새로운 내일을 향해 힘차게 나아가겠습니다.”
25일 삼성 사내 인트라넷에 꾸려진 ‘이건희 회장 2주기 온라인 추모관’의 대표 글이다. 이 회장이 별세한 지 2년이 됐다. ‘인간 중시’와 ‘기술 중시’를 앞세워 삼성을 초일류 기업으로 만든 이 회장의 리더십을 기리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그가 남긴 미술품 등 이른바 ‘KH(이건희) 유산’도 주목받고 있다.
삼성, 31년간 39배 성장
이날 경기 수원시 이목동 삼성가 선영에선 이 회장의 2주기 추모식이 열렸다. 추모식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홍라희 전 리움 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겸 삼성글로벌리서치 고문, 김재열 국제빙상경기연맹 회장 등 유족이 참석했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권오현 전 삼성전자 회장 등 전·현직 삼성 경영진 300여 명도 참석해 고인을 추모했다. 재계에선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세 아들과 함께 추모식장을 찾았다.
이 부회장은 사장단과 오찬을 함께하며 이 회장의 업적을 되돌아본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장은 1987년 회장 취임 이후 삼성을 글로벌 기업으로 탈바꿈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회장 재임 31년간 삼성 매출은 10조원에서 387조원으로 약 39배로 불어났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2000억원에서 72조원으로 359배 늘었다. 이 과정에서 삼성은 스마트폰, TV, 모니터, D램, 낸드플래시 등 수많은 세계 1등 품목을 만들어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621817.1.jpg)
산업계에선 이 회장이 1993년 “마누라와 자식을 빼곤 다 바꾸자”고 외친 ‘삼성 신경영’ 선언을 성장의 변곡점으로 꼽는다. 그는 ‘인재 제일’ 철학으로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데 공을 들이며 기술 경쟁력을 키우는 데 집중했다. 삼성 메모리 반도체가 세계 1위에 오른 데는 이 회장의 적극적인 기술 개발 의지와 과감한 투자가 뒷받침됐다는 평가다.
이날 삼성 모든 계열사 인트라넷에는 이 회장을 추모하는 5분43초짜리 영상이 올라왔다. 그의 신경영 특강 발언, 삼성 창립 50주년 기념사 등이 소개됐다. 사내 온라인 추모관에는 이날 오후 3시까지 댓글 1만3000여 개가 달렸다.
KH 유산 영향력 여전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623105.1.jpg)
경영계 관계자는 “이 회장은 사회공헌을 기업에 주어진 또 다른 사명으로 여기고, 이를 경영의 축으로 설정했다”며 “이 회장의 유산은 여전히 사회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말했다. 재계에선 이 회장의 유산을 ‘KH 유산’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그의 유산 약 26조1000억원 중 60%(15조5000억원)는 세금과 기부 등을 통해 사회에 환원되고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전례를 찾기 어려운 규모의 사회 환원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623106.1.jpg)
KH 유산의 3대 기증 사업은 △문화재·미술품 기증 △감염병 극복 지원 △소아암·희귀질환 환자 지원 등이다. 유족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상생’을 강조한 이 회장의 평소 철학에 따라 그가 모은 문화재·미술품 2만3000여 점을 국가기관 등에 기증했다. 중앙감염병전문병원 건립 등 감염병 극복에 7000억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또 10년간 소아암·희귀질환을 앓는 아동 1만7000명을 돕는 데 3000억원을 기부했다. 이 기부금을 통한 환아 검사 및 치료 지원은 올해 말부터 본격 진행될 예정이다. 홍경택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의미 있는 기부금으로 전국 소아청소년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아들에게 중요한 검사를 무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정지은/배성수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