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0/AA.31635725.1.jpg)
이종혁 한공협 회장은 이날 서울 봉천동 한공협 중앙회 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공인중개사 자격을 취득하지 않은 무허가 기획부동산이나 엉터리 중개업자들의 중개 거래량이 전체의 절반을 넘으면서 그 피해가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가고 있다”며 “최근 급증하고 있는 전세 사기를 예방하려면 시장교란 행위를 막을 수 있도록 협회가 법정단체 권한을 부여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월세 등 임대차 사기를 단속할 수 있는 권한이 지방자치단체에 있는데 고작 2~3명에 불과한 담당 공무원 인력만으로는 대응이 어렵다는 것이다. 또 법정단체가 되면 사회적 약자를 위한 무료 중개서비스 강화, 부동산 중개 사고에 따른 피해 손해배상액을 1억원에서 10억원으로 확대하는 안을 추진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한공협은 이 법안이 프롭테크 산업을 규제할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 회장은 “이 법안을 ‘직방 죽이기’ 혹은 ‘제2의 타다 사태’ 등으로 매도해서는 안 된다”며 “프롭테크 플랫폼은 우리에게도 소중하다. 이들 기업과의 상생안을 적극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공협 사무국은 최근 프롭테크 포럼 측에 ‘프롭테크의 혁신과 기술 개발을 적극 지지한다’는 취지의 공문을 보낸 사실도 공개했다. 이 회장은 “프롭테크의 신기술과 혁신을 우리 한공협이 받아들이고 돕기 위해 부동산중개시장발전위원회를 함께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