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이 5.7%를 기록했다. 3개월 만에 상승폭이 확대됐다. 지난 7월 기록한 24년 만의 최고치(6.3%)보다는 낮지만 6개월 연속 5%대 이상 물가 상승률이 이어졌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1년 전보다 4.8% 오르며 13년8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고물가가 장기간 계속되는 ‘끈적한 인플레이션’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월 6.3%에서 8월 5.7%, 9월 5.6%로 둔화했지만 10월 5.7%로 다시 상승폭이 커졌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은 공공요금 인상 영향이 크다. 전기·가스·수도는 전년 동월 대비 23.1% 뛰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0년 1월 이후 최고치다. 석유류(10.7%), 농산물(7.3%), 개인서비스(6.4%)도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9월 대비로는 전기·가스·수도가 8.8% 상승했다. 가공식품(1.6%), 공업품(0.4%) 물가도 한 달 전보다 올랐다. 반면 석유류(-2.4%)와 농산물(-6.3%)은 하락했다. 산유국 모임인 OPEC+의 감산 결정에도 경기 침체 우려로 국제 유가가 급등하지 않은 데다 수급 개선으로 농축산물 가격 상승세가 주춤한 결과다.
기재부 "상당기간 고물가 지속"…한은, 금리인상 기조 계속될 듯
하지만 물가가 단기간에 시원하게 내려갈 가능성은 낮다. 오히려 정부와 한국은행은 당분간 5%대 고물가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은 물가 안정 목표로 2%가량을 잡고 있는데 이보다 높은 물가 수준이 상당 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가 불안하기 때문이다. 10월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4.8% 뛰었다. 2009년 2월(5.2%) 이후 13년8개월 만의 최고치다. 당분간 물가가 급락할 가능성은 낮다는 뜻이다. 오히려 상황에 따라선 물가가 다시 오름세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가공식품의 출고가 인상이 지속되고 개인서비스 가격의 오름세가 이어지는 점이 물가에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석유수출국 모임인) OPEC+의 감산 결정이나 러시아의 식량 무기화 등으로 석유류나 곡물 가격이 반등하는 상황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위험 요인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환율,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 가능성 등을 이유로 “물가 상승세가 점차 둔화하겠지만 앞으로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도 2일 이승헌 부총재 주재 물가상황 점검회의에서 “근원물가가 개인서비스와 내구재를 중심으로 오름세가 확대되고 있어 앞으로 소비자물가가 내년 1분기까지 5%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5%대 물가는 한은 입장에선 기준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는 뜻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 이상이면 통화정책의 초점을 성장보다 물가에 맞춰야 한다고 말해왔다. 경기 하강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금리가 계속 오르면 경기 침체가 가속화될 수 있다. 이는 한국 경제에도 부담이다.
다만 한은은 평소와 달리 경기 하강 위험도 지적했다. 이 부총재보는 “향후 물가 전망 경로상에는 국내외 경기 하방 압력 증대 등에 따른 하방 리스크와 고환율 지속, 주요 산유국의 감산 규모 확대 등에 따른 상방 리스크가 혼재해 있다”며 “불확실성이 높다”고 했다. 물가 안정에 방점을 뒀던 이전 회의와는 다른 분위기라는 평가가 나온다.
황정환/조미현 기자 j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