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꼬마빌딩(연면적 100㎡ 초과 3000㎡ 이하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는 45건으로 지난 8월(99건)에 비해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올 1월부터 9월까지 총 거래 건수 역시 총 138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288건)에 비해 39.4% 줄었다. 지난 4월 230건이 거래된 이후 7월 125건, 8월 99건으로 매달 감소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저금리로 유동성이 풍부했던 지난해까지는 꼬마빌딩 거래가 활발했다. 서울 꼬마빌딩 거래량은 2019년 2036건, 2020년 2599건, 2021년 2940건으로 매년 늘었다. 올 들어 거래량이 급감한 것은 대폭 뛰어 오른 금리 때문이다. 상가와 빌딩 등의 담보대출 이자율은 지난해 연 3%대에서 최근 연 6%대로 올랐다.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상가 임대료가 하락하고 공실률은 오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올해 3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에 따르면 중대형 상가는 2분기 대비 0.04%, 소규모 상가는 0.08%, 집합상가는 0.06% 각각 임대가격 지수가 하락했다. 코로나19로 사태로 인한 거리두기가 해제됐음에도 물가상승과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소매·식음료 업종 경기가 주춤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실률 역시 중대형 상가 13.1%, 소규모 상가 6.8%로 높아지는 추세다.
불황기에 건물이나 상가에 투자할 때는 허름하고 작은 물건을 사더라도 핵심 상권이나 주변 지역을 선택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김성순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리테일·물류 부문장(전무)은 “불황일수록 상권 양극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며 “수익률이 높고 낮고는 둘째 문제이고 어중간한 상권에선 상가가 공실로 남아 장기간 임대료를 한 푼도 못 받을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로 가속화된 오프라인 상권 변화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 전무는 “대부분 기업이 이젠 오프라인 매장을 물건을 파는 곳으로 생각하지 않고 서비스나 제품을 홍보하는 공간으로 여긴다”며 “꼬마빌딩 저층 상가 등의 임차인을 구할 때도 온라인과 상생할 수 있는 레스토랑, 커피숍 등 식음료 업종과 체험형 서비스 매장 등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