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집단운송거부는 본질적으로 노동법으로 보호받는 파업도 아니다. 화물연대는 정식 노조가 아니라 운송회사와 계약을 맺은 개인사업주들의 권익단체에 불과하다. 국민 경제의 피해는 불을 보듯 뻔하다. 지난 6월 여드레 동안의 집단운송거부로 약 2조원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에는 ‘모든 산업에 타격을 주겠다’고 공언한 만큼 피해가 더 클 것이다. 파업 첫날에만 전국 12개 항만 컨테이너 반출량이 60% 급감하고, 시멘트 출하량은 예정량의 20분의 1로 추락했다.
모처럼 발 빠른 원칙 대응이 다행스럽지만 경계할 점은 또 엄포로 마무리하고 마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6월 파업 때도 정부는 운송거부 개시 전부터 ‘엄단’ ‘무관용’ ‘손해배상’을 강조했다. 또 ‘업무개시명령’ ‘운송면허 취소’까지 언급했지만 결과는 정부의 대폭 양보와 화물연대의 일방적 승리였다. 당시 출범 한 달도 채 안 된 정부의 물러터진 대응은 이후 대우조선해양 파업으로 이어졌고, 급기야 화물연대 재파업이라는 악순환을 불렀다.
정치파업 혐의가 짙은 이번 파업에서도 같은 결과가 반복된다면 윤석열 정부가 강조해온 노동개혁은 물 건너갈 수밖에 없다. 화물연대는 야당과의 협력을 강화하면서 ‘일몰 3년 연장’이라는 정부 제안을 단칼에 거절했다. 이번에야말로 정부를 굴복시키겠다는 의지를 노골화하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는 아이들을 볼모로 한 무책임한 집단행동까지 시작됐고, 내년 성장률은 1.7%로 추락할 것이란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또 어설픈 합의와 어중간한 봉합으로 끝난다면 남은 임기 내내 재발과 악화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