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1/01.31954890.1.jpg)
기아가 1962년 1호 차량을 출시한 이래 60년 만에 국내 누적 판매 1500만대를 달성했다.
기아는 국내 자동차 누적 판매 대수가 지난달까지 1498만4825대를 기록한 데 이어 이달 중순께 1500만대를 넘어섰다고 28일 밝혔다. 기아 중형 SUV인 쏘렌토(전장 4.8m)를 기준으로 1500만대를 줄 세우면 총 7만2000㎞로 서울-부산 직선거리 325㎞의 약 221배에 달한다.
같은 그룹사인 현대차는 2011년 국내 1500만대를 먼저 돌파했고 2018년 2000만대를 넘어섰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1/01.31954902.1.jpg)
기아는 1962년 한국 최초 삼륜차 K-360을 시작으로 상용차만 판매하다 1974년 첫 국산 승용차 브리사('산들바람'이라는 뜻)를 출시했다. 영화 '택시운전사'에서 송강호가 몰던 택시 모델이 1974년식 브리사다.
기아는 1980년대부터 프라이드 등 승용 모델 판매를 본격화했다.
1986년 국내 시장 첫 연간 판매 10만대를 달성한 데 이어 1989년 누적 판매 100만대를 넘어섰다. 1999년에는 500만대, 2013년에는 1000만대를 기록했다. 이후 9년 만에 1500만대 고지에 올랐다.
60년간 내수 시장에서 판매한 1500만대를 유형별로 보면 승용이 약 680만대(45%), 레저용 차량(RV) 약 420만대(28%), 상용차 약 400만대(27%)로 분류된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승용 모델은 경차 모닝(121만대)이다. 이어 카니발 113만대, 쏘렌토 103만대, 스포티지 85만대 순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1/01.31954715.1.jpg)
연간 10만대 이상 팔린 10만대 클럽 모델도 다수 배출했다. 1987년 출시한 1세대 프라이드는 기아 차종 중 연간 최다 판매 기록(1992년, 12만6226대)을 세우며 1991~1993년 연속 10만대를 넘었다. 세피아, 크레도스, 모닝 등도 10만대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누적 2000만대 달성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가 견인할 전망이다. EV6와 니로 EV 등 전기차가 선전하는 가운데 하이브리드차도 인기를 얻고 있다. 앞서 기아는 올해 3월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2030년까지 국내 친환경차 판매 비중을 84%까지 올리겠다고 밝혔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