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은 이날 화물연대를 향해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를 볼모로 삼는 것은 어떠한 명분도, 정당성도 없다”고 날을 세웠다. 또 “다른 운송 차량의 진출입을 막고 운송 거부에 동참하지 않는 동료에 대해 쇠구슬을 쏴서 공격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범죄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런 윤 대통령의 발언은 지난 6월 화물연대 파업 당시와 비교해도 한층 강경한 수위다. 윤 대통령은 새정부 들어 화물연대가 처음으로 파업을 벌였던 지난 6월 출근길에 화물연대 파업에 대해 “정부가 노사 문제에 깊이 개입하면 노사가 원만하게 풀어나갈 수 있는 역량이 축적되지 않는다”며 “(총파업 문제는) 노사가 자율적으로 풀어가야 할 사안”이라고 했었다. 당시에도 화물연대 파업이 나흘간 지속되면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해야 한다는 경제계 요구가 거셌지만, 정부는 “노사가 자율적으로 해결하라”며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정부는 결국 파업 8일만에 화물연대의 요구 대부분을 수용하면서 사실상 백기투항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1/01.31968764.1.jpg)
정부 안팎에선 시장주의자인 이관섭 국정기획수석(사진)이 이번 사태의 키를 쥐면서 정부가 한층 더 체계적으로 노동계 파업에 대응하기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 수석은 전날 수석비서관급 회의에서도 “시장 논리에 전혀 맞지 않는 안전운임제와 같은 요구를 계속 수용하면 국내 기업의 국제 경쟁력이 떨어져 시장에서 생존할 수 없다”며 원칙론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도 이날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법을 지키지 않으면 법을 지킬 때 보다 훨씬 더 고통이 따른다는 것을 알아야 법치주의가 확립된다”며 “법치주의와 민주주의가 위태한 상황에선 어떤 성장과 번영도 있을 수 없다”고 발언했다고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국무위원들에게 “노사문제에 있어 당장 타협하는 게 편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러면 또 다른 불법 파업을 유발하게 된다”며 “노사관계가 평화롭게 해결되려면 아무리 힘들어도 법과 원칙을 바로세워야 한다”고 당부했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