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2/99.23418798.1.jpg)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5일 '주택가격이 혼인율과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함의'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소개했다. 강동익 조세연 부연구위원은 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인해 비자발적인 주택 구매를 할 경우의 효과를 구분하기 위해 공공기관 종사자 30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회귀분석을 통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 주택 가격의 상승은 무주택자의 결혼을 어렵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가격이 2배로 상승할 때 무주택자가 결혼할 확률은 4.1~5.7% 감소했다. 반면 주택 보유자의 경우 주택가격 상승이 결혼율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출산에는 다각도로 영향을 미쳤다. 주택가격이 2배로 오를 때 2013~2019년 8년간 출산한 자녀 수는 0.1~0.29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변화와 배우자의 경제적상황 등을 통제한 후 분석한 것이다.
무주택자의 출산 감소폭은 더욱 컸다. 주택이 없는 개인의 경우 같은 분석에서 출산인원이 0.15~0.45명 감소했다. 주택 보유자의 감소 폭이 0.055~0.2명인 것을 감안하면 2배 이상 더 큰 타격을 받은 셈이다.
현재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은 지난 2분기 0.75명, 3분기 0.79명 수준이다. 이에 비추어 보면 주택가격 상승으로 인한 출산 감소폭은 적지 않다는 게 조세연의 진단이다.
강 부연구위원은 "주택가격의 상승은 출산에 상당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주거비용을 낮추는 것이 출산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고 봤다.
또 "주택가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한 행태 변화는 혼인을 결정하는 단계의 개인보다 출산을 고민하는 가구에서 더욱 크게 나타난다"며 "신혼부부에 대한 소형 저가주택 지원 이상의 강력한 지원을 출산 및 양육 단계 가구에 하는 방향을 심층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