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 가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PF 부실 여파로 40여 곳이 문을 닫은 것과 같은 줄도산 사태가 불가피하다. 부동산 장기 침체, 치솟은 공사비, 미분양 급증이라는 삼각파도 탓에 위기는 내년에 더 심각해질 전망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은 내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해보다 8.5%(수도권은 13.0%) 급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PF 위기가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에서 건설업계가 자초한 측면이 분명히 있다. 하지만 지금은 책임 소재를 다툴 만큼 한가한 상황이 아니다. 금융시스템 붕괴를 저지하고 한국 경제의 뇌관을 제거하는 일이 급선무다.
50조원이 넘는 정부의 긴급시장안정대책에도 단기자금시장 경색이 풀리지 않는 것은 PF 부실 규모가 워낙 커서다. 2018년 말 59조5000억원이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12조원(6월 말 기준)으로 불과 3년여 만에 2배 가까이로 불었다. 연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PF만 34조원으로 집계된다. 경기 연착륙을 위해 더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과 과감한 규제완화가 시급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