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2/AA.32097277.1.jpg)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주요 정치·경제 현안에 대한 윤 대통령의 발언과 입장을 전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와 오찬을 겸한 주례 회동에서 “2월 임시국회에서 국정과제 및 주요 민생 현안 법안들이 최대한 처리될 수 있도록 각 부처가 마지막까지 여야 의원에게 법 취지 등을 최대한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라”며 “특히 법인세법 개정안과 한국전력법 개정안 처리가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이 부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법인세 인하로 일부 대기업만 혜택을 본다”는 더불어민주당 입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기업들의 법인세 부담이 낮아지면 투자와 고용이 늘고 근로자 임금이 상승할 수 있으며 주주 배당이 확대돼 경제 전체가 선순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25%에서 22%로 내리는 내용을 담은 법인세법 개정안은 민주당 반대에 막혀 국회 처리가 불투명하다.
윤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에게도 “법인세 감세 법안은 꼭 처리돼야 한다”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여야가 주고받기식으로 예산안 협상을 마무리하려는 관행에 대해 윤 대통령이 마뜩잖아한다”며 “윤석열 정부의 정체성을 담은 핵심 법안은 주고받기 대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선 예산안 협상이 여야가 데드라인으로 정한 15일을 넘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윤 대통령은 한 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한전법 개정안에 대해 “국민의 전기료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 해임 건의안에 대해선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수사와 국정조사 이후 확인된 진상을 토대로 종합적인 판단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지금도 그 입장은 다르지 않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이 같은 대통령실 입장과 관련, 정치권 일각에선 “이 장관이 향후 정치적 책임을 지고 물러날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대통령실은 과거 박진 외교부 장관에 대한 해임 건의안이 국회를 통과했을 땐 김은혜 홍보수석을 통해 “해임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며 보다 분명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 9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구자열 무역협회 회장, 최진식 중견기업연합회 회장 등 경제 5단체 대표와 만찬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인들은 노조 파업에 대한 사측의 손해배상을 제한하는 내용 등이 담긴 ‘노란봉투법’에 따른 우려를 전하고 이달 말 만료되는 ‘30인 미만 사업 추가근로제’ 연장을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