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2/AA.32105350.1.jpg)
말이 그렇지 괜찮을 수가 없다. 국내 거래량이 사실상 전부인 ‘김치코인’이자, 코인값이 무너지면 게임을 할 이유도 사라지는 ‘P2E(Play to Earn) 코인’인 위믹스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위믹스 상폐를 “사회악 거래소의 슈퍼 갑질”로 규정하는 눈물의 기자회견(사진)을 했다. 상폐 취소 가처분 신청이 기각되자 본안 소송, 공정거래위원회 제소 등을 이어갈 태세다.
위믹스가 신청한 가처분의 기각은 예상할 수 있었다. 국내 암호화폐거래소에서는 해마다 수십 개 코인이 퇴출당해 왔다. 상폐 취소 가처분을 낸 코인회사들이 있었지만 이긴 적이 없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2/07.24247280.1.jpg)
투자자들은 ‘위믹스 사태 피해자 협의체’를 꾸려 위메이드와 같은 편에 섰다. 소송전에도 보조를 맞추고 있다. 위믹스의 유통량 관리와 회계 처리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은 언론을 통해 1년 전부터 제기됐다. 그런데도 위메이드는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지금도 “더 문제 있는 코인이 많은데 왜 우리한테만 가혹하냐”고 반문한다.
올해 가상자산 시장에는 우울한 뉴스만 이어졌다. 올 들어 해커에게 털린 암호화폐가 30억달러(약 4조원)를 넘어서 역대 최대라는 통계도 나왔다. 정부·은행의 통제를 받지 않는 디파이(DeFi·탈중앙화금융) 등을 해커들이 집중 공략한 영향이다. 블록체인이 전통 금융을 대체하기엔 갈 길이 멀다는 점을 보여준다. 기술상의 허점은 개선하면 된다. 하지만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로 돌아선 대중의 마음을 되찾는 길이 험난할 듯하다. 루나의 권도형, FTX의 샘 뱅크먼 프리드 같은 ‘한때 업계 셀럽’이 보인 무책임한 민낯은 많은 사람을 실망시켰다. 그러고 보니 요즘은 “코인에 아예 관심 없다”는 사람이 많아진 것 같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