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12/AA.32238421.1.jpg)
추상미술의 거장 고(故) 김환기 화백은 생전에 조선 백자를 보고 이렇게 말했다. 눈처럼 희고 깨끗한 백자가 자연의 빛과 물을 만나 빚어내는 아름다움을 예찬한 것이다.
서울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에서 열리는 ‘백자: 어떻게 흙에다가 체온을 넣었을까’ 전시에서 김 화백이 극찬한 백자를 볼 수 있다. 티끌 하나 없는 하얀 표면 위에 청색 유약으로 그려진 꽃잎이 조명 빛을 받아 반짝인다.
이 백자의 특이한 점은 ‘항아리’가 아니라는 것. 뭔가를 담을 수 있는 3차원의 입체적인 백자가 아니라 사각형의 평면 틀에 놓인 2차원의 백자다. 그렇다고 물감으로 그린 회화도 아니다.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일반 백자와 똑같은 매끈한 표면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도예가 이승희(64·사진)의 ‘평면 도자’다.
이 작가는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유명하다. 2008년 ‘도자기의 도시’로 불리는 중국 징더전으로 건너간 뒤 줄곧 그곳에서 작품 활동을 해왔다. 내년에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에 징더전에서 개인전을 열고, 2024년에는 미국 디트로이트의 한 대학 미술관에서 전시를 개최하는 등 벌써 전시 일정이 줄줄이 잡혀 있다. 지금도 일본 시가현립도예미술관의 초청으로 시가현에 머무르며 전시를 준비 중이다.
평면 도자는 그의 오랜 고민에서 탄생했다. “우리 세대만 해도 모두 서양미술에 심취했었죠. 동양미술은 관심 밖이었을 때 ‘한국적인 것이 무엇일까’ 많이 고민했어요. 제가 찾은 답은 아버지가 좋아했던 ‘조선 백자’였어요. 백자를 그냥 재현해서 만드는 건 평범하잖아요. 사람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려면 뭔가 다른 게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도자를 회화처럼 만들어보자는 아이디어는 그렇게 나왔죠.”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2/AA.32238423.1.jpg)
이 작가에게 평면 도자는 ‘흙의 가능성을 넓혀주는 작품’이다. “도자 기법을 사용하긴 하지만 그릇을 만들겠다는 생각은 해본 적이 없어요. 뭔가를 담는 쓰임새보다 더 중요한 게 흙이라는 재료를 통해 전달하는 감정과 이야기입니다. 관람객들이 제 작품을 통해 흙이 지닌 또 하나의 매력을 알기를 바랍니다.”
그가 평면 도자 외에도 도자로 만든 대나무, 사람 얼굴 모양의 도자기 등 새로운 작품을 끊임없이 제작하는 이유다. 서울공예박물관 전시는 내년 1월 29일까지.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