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269489.4.jpg)
‘위기 속 생존을 위한 혁신.’
국내 주요 그룹 총수,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2일 던진 올해의 경영 화두다. 실물경기 하강, 자유무역 퇴조, 수출 경쟁력 약화 등이 겹친 ‘영구적 위기’에 직면했다는 걸 애써 부정하지 않았다. 과거 위기 때와 다른 점은 수세적인 태도 대신 적극적인 투자를 주문한 것이다. 위기를 혁신의 계기로 삼아 미래를 더욱 단단하게 준비하겠다는 결연한 의지가 느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끊임없는 혁신만이 ‘영구적 위기’를 돌파할 유일한 해법”이라며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올해가 새로운 롯데로 한 단계 더 도약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손경식 CJ그룹 회장은 “급변하는 경영 환경은 위기이자 아주 큰 도약의 기회”라며 “글로벌 메이저 플레이어로 가느냐는 얼마만큼 담대한 미래 전략을 실행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역시 위기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역설했다. 그는 “위험을 직시하고 준비된 역량으로 정면돌파할 수 있는 위기 대응 능력이 곧 신세계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위기 속 성장 기회 선점과 지속 가능 경쟁력 확보 노력을 착실히 해나가면 포스코그룹은 더 크고 강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화는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대한 책임감을 드러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어려운 때일수록 내실을 다지면서도 미래 성장동력과 핵심 역량 확보에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술 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을 언급한 CEO도 많았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절대적 가치인 품질력을 제고하고, 고객의 마음을 얻고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해 기술 경쟁력 확보에 전력을 다하자”고 당부했다.
최윤호 삼성SDI 사장은 “확고한 기술 경쟁력을 가진 기업만이 승자가 될 수 있다”며 “전기차용 배터리 신제품 적기 개발과 차세대 기술 선행 확보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사업에 대한 의지의 표현도 신년사에 자주 등장했다. 구자은 LS그룹 회장은 신성장 사업으로 수소 가치사슬 사업, 송·배전 솔루션 등을 꼽으며 “아직 개척되지 않은 미래의 무탄소경제(CFE) 사업에 향후 8년간 20조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철동 LG이노텍 사장은 “광학 솔루션 사업 부문의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또 하나의 일등 사업으로 육성하자”고 임직원들에게 주문했다.
황정수/김익환/한경제 기자 hj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