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AA.32284777.1.jpg)
지난달 30일 전북 군산의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에서는 컨테이너선 건조에 필요한 ‘블록’(TBHD·격벽)을 도장 공장으로 옮기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군산조선소가 지난해 10월 부분 재가동에 들어간 이후 제작한 첫 블록이다. 가로 40m, 세로 20m, 높이 1.5m에 무게는 150t 정도다. 이런 블록 200개가 모여 1만5000TEU급(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컨테이너선 한 척이 건조된다.
현장 근로자들은 첫 블록이 나오는 조립공장 앞에 줄지어 서 출하를 자축했다. 지난 2개월여간 블록을 제작한 류해수 기원은 “군산조선소에서 5년5개월 만에 블록이 다시 나오는 것을 보니 감정이 벅차오른다”며 울먹였다. 그는 군산조선소 폐쇄로 울산으로 갔다가 조선소를 재가동한다는 소식을 듣고 곧장 복귀했다.
2008년 가동을 시작한 군산조선소는 조선 경기 악화로 수주가 급감하면서 2017년 7월 문을 닫았다. 최대 4000여 명에 달하던 근로자는 일자리를 찾아 울산 평택 청주 등 전국으로 뿔뿔이 흩어졌다. 전북 제조업의 12%, 군산 경제의 24%를 담당하던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자 지역 경기도 얼어붙었다. 이듬해인 2018년 한국GM 군산공장까지 폐쇄되면서 2016년 28만 명에 육박했던 군산 인구는 지난해 26만여 명으로 쪼그라들었다. 그동안 군산은 한국판 ‘말뫼의 눈물’로 불렸다.
5년여간 눈물을 흘리던 군산에 최근 생기가 돌고 있다. 지난해 10월 군산조선소가 부분 재가동에 들어간 덕분이다. 전국으로 흩어졌던 직원들도 군산으로 속속 복귀하고 있다. 반도체 건설 현장에서 일한 일부 직원은 월급이 줄어드는 것도 감수하고 고향 군산으로 돌아왔다. 이들은 대부분 블록 생산을 위한 용접과 사상(그라인더) 작업을 하고 있다. 군산조선소는 450여 명인 근무 인원을 1000명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종천 군산조선소 책임매니저는 “군산조선소 완전 정상화는 인력을 얼마나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AA.32282094.1.jpg)
부분 가동 중인 군산조선소는 이달 완전 재가동에 들어간다. 이렇게 되면 △블록 가공 △소조 △대조 △채널 △도장 등 5개 공장에 1000여 명의 직원이 상시 근무하게 된다. 올해 군산조선소의 예상 매출은 1800억원으로, 연간 10만t의 블록을 생산할 예정이다. 2016년(1조6000억원)에 비하면 아직 미미하지만, 군산조선소는 이제 시작이라는 분위기다.
군산조선소가 재가동되면서 지역경제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군산조선소는 12곳의 지역 협력사를 지정했고, 신산테크 우신엔지니어링 등 인근 사외 협력사들도 다시 문을 열었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지금은 군산조선소에서 블록만 만들지만 다시 도크에서 배를 지을 수 있도록 현대중공업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AA.32285429.4.jpg)
올해 실적에서도 국내 조선사들은 오랜 적자 행진을 끝내고 흑자 전환이 확실시된다. 조선 3사는 현대제철과 작년 하반기 후판 가격을 t당 10만원가량 내리는 데도 합의했다. 이런 기조는 올해도 이어져 2021년 t당 130만원에 달하던 후판 가격은 100만원 안팎으로 낮아질 전망이다. 후판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 안팎이다.
시장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9127억원이다. 삼성중공업은 1155억원, 대우조선해양은 2298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할 전망이다. 국내 조선 3사가 동시에 흑자를 내는 건 2011년 이후 12년 만이다.
군산=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