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AA.32347198.1.jpg)
지역활력타운은 정부 주도로 특정 지역에 타운하우스를 조성하고 인근에 노인 지원 복지시설, 체육 시설 같은 인프라를 구축해 생활 편의성을 높이는 게 특징이다. 타운하우스엔 고령자 친화 설계가 도입되고 제로 에너지를 목표로 한다. 분양과 임대주택을 적절한 비율로 공급한다.
정부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활용한 단독주택 단지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의 재정 지원 없이 부동산펀드나 리츠(부동산투자회사)를 활용해 LH가 지역활력타운 내 단독주택 단지를 건설하는 방식이다. 단독주택은 관리비 절감형 패시브 하우스 형태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다. 패시브 하우스는 폐열 등을 재활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인 에너지 절약형 주택을 말한다.
돌봄·여가·체육 서비스는 보건복지부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와 연계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 중이다. 마을기업 등을 창업할 수 있는 창업 지원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고, 재능기부 등이 가능하도록 지역 사회와 업무 협약을 맺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정부는 갈수록 1인 가구의 귀농 희망이 많아지고 있는 점도 염두에 두고 있다. 정부는 단순히 타운하우스 조성과 생활 인프라 구축 이외에 소득 창출이 가능한 일자리 연계 시스템을 논의 중이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