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AA.31219657.1.jpg)
아난티는 한때 대북 테마주로 분류됐다. 사명이 에머슨퍼시픽(2018년 변경)일 때 얘기다. 금강산에 골프와 리조트를 짓고 나서부터 아난티 주가는 북한발 풍문에 요동치곤 했다. 요즘 아난티에 대한 평가는 그야말로 상전벽해다. ‘아난티 스타일’이라 불리는 그들만의 특색 있는 건축 디자인을 무기로 연 매출 1조원(올해 말 예상)의 호텔&리조트 기업으로 성장 중이다. 연내 싱가포르를 비롯해 아시아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국내 호텔&리조트 기업 중 매출 1조원 고지를 밟은 기업은 아직 없다. 27개(2020년 3월 말 기준)의 국내외 호텔을 보유한 호텔롯데조차 2019년 말 매출 9060억원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호텔신라의 호텔·레저 사업부 매출은 전성기이던 2019년 5705억원에 그쳤다.
아난티의 비약을 가능케 한 건 꾸준한 ‘축적의 힘’이다. 이 대표는 “16만㎡ 부지에 단독 빌라, 펜트하우스, 호텔 등 총 390실 규모로 완성한 빌라쥬 드 아난티는 소설에 비유하면 아난티의 첫 장편 소설”이라며 “남해, 가평, 부산, 서울 등에서 아난티만의 라이프스타일을 찾고자 해온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건축가 민성진 씨와 남해 아난티(2006년 개장) 시절부터 지금까지 동고동락하고 있다. 호텔업계 관계자는 “중소형 호텔업에 뛰어든 사업가들이 건축설계 사무소에 찾아가서 ‘아난티 스타일로 해달라’고 요청할 정도로 독창성을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AA.32377098.1.jpg)
아난티 제주클럽(현 세인트포CC 부지)을 포함해 총 6개 ‘플랫폼(거점)’을 확보한 아난티는 이르면 2025년께 청평에 추가 플랫폼을 지을 예정이다. 이 대표는 “코로나19를 계기로 국내 여행 시장이 더 커지고 있다”며 “동(東)부산 오시리아 관광단지에 있는 아난티 코브는 지난해 전국 호텔 중 인터넷 검색량 1위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여행과 관련한 상품과 콘텐츠를 유통하는 사업에도 뛰어든다. 이 대표는 “‘이터널저니’라는 브랜드로 온·오프라인 유통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아난티의 안목으로 선별한 제품을 판매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행과 관련한 글과 영상 등의 콘텐츠도 실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비즈니스 모델 확장에 힘입어 아난티 주가는 석 달 새 32.7% 상승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