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7.16845426.1.jpg)
미 노동부가 지난주 발표한 작년 기준 가입률은 반전 드라마 같다. 전년 대비 0.2%포인트 하락한 10.1%를 기록했다.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최저치다. 근로자 열 명 가운데 아홉 명은 비노조원이란 얘기다.
연방정부도 충격을 받은 눈치다. 조 바이든 정부 들어 친(親)노조 기조를 노골화했기 때문이다. 노조는 바이든 정부의 주요 지지 기반이다.
노조 가입률은 왜 뚝 떨어졌을까. 고용 시장의 호황이 첫 번째 원인이란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 일자리가 작년에만 총 530만 개 늘면서 신규 노조원 수를 압도했다는 것이다. 작년 노조에 새로 가입한 사람은 27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다른 데 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가입률 하락이 1~2년 새 벌어진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비교적 안정적인 일자리로 꼽히는 공공 부문의 노조 가입률이 33.1%로 높은 편이지만, 훨씬 유연한 민간 부문 가입률이 6%에 불과한 점도 노조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지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왜 노조 가입이 저조할까’라는 칼럼에서 노조 간부의 부패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노조 대표들이 조합비 편취를 관행화하며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렸다는 것이다.
미국자동차노조(UAW)의 직전 위원장이던 게리 존스와 데니스 윌리엄스는 횡령 등 혐의로 구속됐다. 현직 회장인 레이 큐리도 비슷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근로자를 둘러싼 기업 및 고용 환경 역시 빠르게 변하고 있다. 고용시장 분석업체 라이트캐스트의 블레디 타스카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악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 “과거엔 노조가 근로자를 대표해 복지 개선과 임금 인상을 요구했으나 지금은 효용성이 한계에 부닥쳤다”며 “역설적이지만 경제가 성장하면서 근로자들이 노조란 보호막 없이 협상력을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매달 납부하는 조합비 등을 감안할 때 노조 가입에 따른 ROI(투자 대비 수익)가 매력적이지 않다는 게 그의 얘기다.
케이트 브론펜브레너 코넬대 노동관계학과 교수의 지적은 노조가 꼭 귀담아들을 부분이다. “시대가 변하고 있는데도 노조만 모르고 있는 게 진짜 문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