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AA.32456212.1.jpg)
수전해 전문기업인 에이치쓰리코리아(대표 김진관)는 CNT를 적용한 수전해 스택(Stack)을 개발해 특허 출원했다고 25일 밝혔다. CNT 무촉매 수전해 장비로 수소 양산을 본격화하면 정부가 발표한 2040년 수소 가격(㎏당 3000원) 목표를 17년이나 앞당기게 된다.
수전해 기술은 촉매제를 입힌 여러 장의 얇은 판 형태의 셀(티타늄 재질)로 구성된 스택에 전해수를 넣고 전기를 공급해 수소·산소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수전해 장치의 핵심은 스택으로 전기가 잘 통하는 촉매제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의 촉매제는 백금, 이리듐, 루테늄 등을 사용하는데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외 기업과 연구기관이 앞다퉈 촉매제 가격을 낮추기 위한 연구개발(R&D)에 몰두하는 이유다.
이 회사는 CNT로 촉매 기능을 대체했다. 고가의 촉매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전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스택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현재의 수전해 기술로 수소 1㎏을 생산하는 데 평균 43~60㎾h의 전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CNT를 활용하면 전력 소모량을 절반 수준인 29㎾h(하루 20시간 연속 가동)까지 낮출 수 있다. CNT는 티타늄 재질의 스택보다 전기 전도성이 30% 이상 높다. 절단, 가공, 흡착 공정이 필요 없고 대량 생산이 가능해 비용·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 회사는 올해 500㎾(킬로와트)급 수소 발생 장치 생산에 나선다. 수소발생기 한 대로 연간 수소 124.1t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현대 수소전기차 넥쏘(5㎏ 충전) 2만4820대를 충전할 수 있는 양이다.
이 회사는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2세대 수전해 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다.
김진관 대표는 “미국 정부는 청정수소 1㎏ 생산에 3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수전해 기술 확보를 위해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지원도, 기술도 열악한 한국이 에너지 패권 경쟁에서 세계를 앞서가는 수전해 기술을 선점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천안=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