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AA.32500034.1.jpg)
업종별 전망을 보면 반도체 업종의 상반기 고용 규모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1.6%(2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세계 반도체 시장 축소 영향으로 상반기 생산은 전년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지만 비대면 경제 확산에 따라 시스템 반도체의 수출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두 기관은 내다봤다.
철강업은 전년 동기 대비 1.7%(2000명) 고용 증가가 예상됐다. 철강 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은 다소 악화되겠지만 조선업의 철강 수요 확대로 생산이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섬유업 일자리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1.8%(3000명) 줄어들 전망이다. 내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 시장의 섬유 수요가 위축되는 데다 달러 강세 기조 진정으로 수출이 줄어들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건설업도 금리 상승, 정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와 함께 공공토목 투자 감소로 일자리가 1.1%(2만2000명) 줄어들 전망이다. 이 밖에 기계·조선·전자·자동차 등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일자리가 유지될 것으로 관측됐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