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8월 정부가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동시에 70%까지 늘렸다. 미분양주택과 9억원 이하 집을 사면 5년간 한시적으로 양도세 100%를 면제하는 파격 안까지 꺼내 들었다. 그러자 정치권에서 “국민들한테 빚내서 집 사라는 얘기냐”는 질타가 쏟아졌다. 당시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회에서 “그런 의도는 아니다”고 부인했지만, 미분양 해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은 전방위적이었다. 전년 6만1091가구였던 미분양 주택은 2014년 말에는 4만379가구로 줄었다.
지난해 말 전국 미분양 주택이 6만8107가구로 급증했다. 2013년 이후 근 10년 만에 최대로 쌓였다. 우려스러운 점은 증가 속도다. 11월부터 한 달에 1만 가구씩 쌓이고 있다. 2021년의 1만7700가구와 비교하면 1년 새 5만 가구가 늘었다. 한 해에 5만 가구 이상 늘어난 것은 2008년의 5만3345가구 이후 14년 만이다.
LH는 지난해 말 이 아파트 전용면적 19~24㎡ 36가구를 약 79억원에 사들였다. 가구당 구입가는 2억1000만~2억6000만원으로 분양가의 12% 할인을 적용받았다. 장기 미분양으로 15% 할인 판매 중인 아파트를 12% 할인가에 구매한 것을 두고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내 돈이었으면 그 가격에 안 샀을 것”이라고 질책했다. 주무장관의 질타에 LH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할인가 이하로 구매하기 위해선 협상 재량권이 있어야 하는데 비리 등을 우려해 2개 감정평가기관의 평균값에 매입하도록 규정돼 있다는 얘기다. 이런 내용을 모를 리 없는 원 장관의 지적을 두고 일각에선 향후 정부의 미분양 주택 매입 시 대폭 할인을 겨냥한 발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는 아직 직접 개입할 수준은 아니라고 하지만 시장 관리를 위해선 초동 대응이 중요하다. 미분양이 심각한 지방에 한해 일시적 취득세 감면 등을 통해 시장에서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주는 게 우선이다. 수도권 규제까지 푼 ‘1·3 대책’에도 불구하고 1월 미분양까지 급증할 경우 환매조건부 매입 방안도 고민해봐야 한다. 직접 구입 시 국민 혈세가 투입되는 만큼 미분양 주택에 대한 가격협상력도 높여야 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