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33년 전 시작한 저출산 대책을 계속 수정·보완하면서 이어오고 있다. 그 덕분에 일본의 고령인구 비율은 2050년 한국보다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2/AA.32520529.1.jpg)
지난 6년간 감소했지만 일본의 출산율은 2005년 이후 10년간 회복기를 포함해 지난 30여 년간 대체로 1.30~1.50명을 유지했다. 지난 10여 년간 출산율이 추락한 한국과 대비된다. 2021년 기준 인구 1억2500만 명, 출산율 1.30명의 일본이 인구 5200만 명, 출산율 0.81명의 한국보다 인구 감소 문제를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출산율이 1.45명까지 회복한 2015년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는 ‘1억총활약 담당 장관’이라는 직책을 만들었다. 일본의 인구를 1억 명 이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고령자와 여성의 사회적 참여를 늘린다는 정책이었다.
하지만 2021년 출산율이 1.30명으로 떨어지면서 목표 달성은 물 건너갔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2년 신생아 수는 인구조사를 시작한 1899년 이후 처음으로 80만 명을 밑돌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2021년 10월 집권한 기시다 총리는 1억총활약 담당 장관을 폐지했다. 인구 1억 명 붕괴가 기정사실로 다가온 만큼 보다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오는 4월 신설하는 어린이가족청이 대표적인 사례다. 11개 정부 부처에 흩어져 있던 저출산과 육아 지원 관련 정책을 통합했다.
6월 나올 ‘차원이 다른 저출산 대책’도 여기에 초점이 맞춰질 예정이다. 하기우다 고이치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은 전날 예산위원회에서 “공영주택과 민간의 빈집을 활용한 주택 우선권을 육아 세대에 주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녀가 많을수록 세금을 깎아주는 제도도 논의 중이다. 모테기 도시미쓰 자민당 간사장은 ‘n분의 n승’ 방식의 소득세 감면 혜택을 주장했다. 선진국 가운데 출산율 반등에 성공한 프랑스가 1946년부터 도입한 제도다. 가족의 합산 소득을 가족 수로 나눠 1인당 소득세를 매기는 방식이다. 자녀가 많을수록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야당인 일본유신회와 국민민주당도 ‘n분의 n승’ 소득세 감면 혜택에 찬성하고 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