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는 2022년 매출이 전년 대비 22% 증가한 592억8000만달러(약 72조7800억원)를 기록했다고 2일(미국 시간) 발표했다.
1등 공신은 키트루다였다. 2021년 171억8600만달러 대비 22% 늘어난 209억37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체 매출에서 키트루다가 차지한 비중은 35.3%였다. 오랜 기간 세계 매출 1위 의약품이었던 애브비의 휴미라를 넘어설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휴미라는 지난해 3분기 누적으로 156억5800만달러어치가 판매됐으며, 4분기를 더한 연간 예상 실적은 204억달러다. 애브비는 오는 9일 2022년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MSD의 자궁경부암 백신 가다실·가다실9은 전년 대비 22% 증가한 68억9700만달러의 매출을 냈다.
이 외에도 홍역 및 볼거리, 풍진 백신 프로쿼드는 5% 늘어난 22억4100만달러, 마취 시 차단된 신경근육을 역전시키기 위한 전문의약품 브리디온은 10% 증가한 16억8500만달러를 기록했다.
우선 코로나19 대유행이 진정세로 접어들면서 코로나19 치료제 라게브리오의 매출 상승이 꺾였다. 라게브리오는 MSD에서 키트루다와 가다실에 이어 세 번째로 매출이 큰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4분기 매출은 8억25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 2023년에는 더욱 가파르게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
가다실의 매출도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다. 자누비아는 34% 급감했다. 자누비아는 인슐린 분비 촉진 목적의 DPP-4 억제제다. MSD는 지난해 자누비아의 약가를 인하했다. 같은 기전의 약물인 노바티스 가브스와의 경쟁 심화, 올해 하반기로 예상되는 제네릭(복제약)의 진입 등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자누비아정 25㎎이 402원에서 378원, 자누비아정 50㎎이 604원에서 568원으로 가격을 약 6% 내렸다. 자누비아는 올해 9월 물질 특허가 만료된다.
MSD의 지난해 순이익은 145억1900만달러로 2021년과 비교해 18% 증가했다. 2022년 4분기 순이익은 30억1700만달러로 21% 감소했다. MSD는 연구개발비 증가 등을 이유로 설명했다.
MSD는 이날 2023년 예상 매출로 572억~587억달러를 제시했다. 라게브리오는 올해 10억달러의 매출을 낼 것으로 봤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