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2/07.14286610.1.jpg)
22년 만인 지난 15일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선 정반대 발언이 나왔다. 윤석열 대통령은 “금융·통신의 과점을 깨라”고 부처에 지시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신규 사업자 진입장벽 완화 등을 포함한 통신시장 경쟁 촉진 방안을 상반기에 마련하겠다”고 했다.
반면 사업자 수는 별 차이가 없다. 미국을 비롯해 한국 중국 일본 독일 호주 등 대부분 국가가 3개 사업자(점유율 5% 미만 제외) 중심이다. 4개사가 있는 영국은 3위(보다폰)와 4위(쓰리) 사업자 간 합병을 논의 중이다. 이렇다 보니 국내 통신 3사 매출(합산)은 2014년 정점을 찍고 정체 상태다. 이 기간 매출 증가율은 한국 경제성장률에도 못 미쳤다. 3사 영업이익이 2년 연속 4조원을 넘긴 했지만, KT·LG유플러스 이익률은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다.
그간 제4 이동통신사업자 선정 시도가 없었던 건 아니다. 2010년부터 7년에 걸쳐 사업자를 허가하려 했지만, 사업계획이나 자금조달의 구체성이 떨어진 탓에 불허했다. 정부는 현재 28㎓ 대역의 5세대(5G) 통신 서비스용 주파수를 활용할 신규 사업자 선정을 추진 중이다.
물론 최근 사태는 통신사들이 자초한 측면이 있다. 5G 요금제 출시 후 요금 경쟁이나 서비스 개선은 뒷전이었다. 그렇다고 정부가 엉뚱한 처방을 들이대선 곤란하다. 과점을 깨면 일시적으로 통신비는 내려갈 수 있지만, 과당경쟁이나 투자 지연이란 후폭풍이 불어닥칠 게 뻔하다. 결국 20여 년 전처럼 구조조정의 피해는 국민 모두에게 돌아올 것이다.
윤 대통령이 큰 영향을 받았다는 책 <선택할 자유>의 저자 밀턴 프리드먼은 “불완전한 시장이라도 불완전한 정부보다 낫다”고 했다. 인위적인 시장개입은 실패를 낳을 뿐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