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801010.4.jpg)
그동안 EU는 IRA의 ‘배터리 핵심 광물 조건’에 유감을 표해왔다. 이 조건에 따르면 미국에서 전기차 세액공제를 대당 최고액(7500달러·약 975만원)까지 받으려면 배터리 원자재 중 40% 이상이 미국 또는 미국과의 FTA 체결국에서 조달돼야 한다. 2027년에는 80% 이상으로 높아진다.
문제는 EU가 미국의 우방이지만 FTA는 맺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지난달엔 로베르트 하베크 독일 부총리 겸 경제기후보호부 장관과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경제장관이 미국을 찾아 ‘핵심 광물 클럽’을 창설하는 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미국과 FTA를 맺지 않은 EU도 핵심 광물 클럽을 통해 FTA 체결국과 동등한 대우를 받기 위해서다.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EU산 광물을 배터리에 사용한 전기차에도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 안에 합의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이르면 이번주 미국이 EU에도 ‘FTA 유사 지위’를 인정하겠다고 발표할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앞서 발디스 돔브로스키스 EU 통상담당 수석부집행위원장도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과 화상회의를 한 뒤 “IRA의 배터리 원자재와 관련해 EU가 특별 지위를 확보하는 안을 논의했다”고 발표했다.
EU는 최근 역내 기업에 보조금과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 ‘그린딜 계획’을 발표했다. 그린딜 계획에는 ‘유럽판 IRA’로 불리는 핵심원자재법(CRMA)이 포함돼 있다. 주요 원자재의 역내 공급망 강화가 목적이다. CRMA에는 역내에서 생산된 원자재를 사용한 제품에 혜택을 주는 안이 담길 가능성이 크다. EU는 오는 14일 CRMA 초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IRA로 각국의 ‘보조금 전쟁’과 보호무역주의가 심화하면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 불똥이 튈 거란 예상도 나온다.
각국은 미 재무부가 이달 발표할 IRA 세액공제 하위 규정에 주목하고 있다. 배터리 핵심 광물 조건 등과 관련한 세부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다. 한국을 비롯한 미국의 우방국들이 IRA 때문에 피해를 봐선 안 된다고 주장한 것이 얼마나 반영될지가 관심사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