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810212.4.jpg)
국민연금 기금 규모가 지난해 말 기준 890조5000억원에 달하는 만큼 국민의 노후자금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선 높은 전문성이 필수다. 하지만 위원들의 경력을 살펴보면 전문성과는 거리가 먼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부 측 위원부터 전문성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기재부 재직 시절 주로 예산 업무를 담당했고, 금융 관련 경력은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이사로 3년 동안 파견 근무한 것이 전부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 권기섭 고용부 차관, 김인중 농식품부 차관 등 3명의 현직 공무원 위원은 사실상 금융 관련 경력이 전무하다.
민간 위원도 마찬가지다. 지역가입자 대표로 임명된 김태민 새길법률특허사무소 변호사는 식품·제약 분야 전문가다. 근로자 대표로 위원 명단에 오른 윤택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수석부위원장은 부산지하철노조 출신이고, 류기섭 전국공공노동조합연맹 위원장 역시 장애인고용공단 직원으로 기금 운용 방향을 결정할 전문성은 없는 인사로 분류된다. 상근 전문위원으로 검사 출신인 한석훈 변호사가 지난달 임명된 것도 논란이다. 복지부는 “대학에서 15년간 상법 교수로 강의한 금융·법률 전문가”라고 해명하고 있다.
특히 현직 공무원인 위원들은 기금운용위 회의엔 거의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신문이 2021년과 지난해 기금운용위 회의 참석자 명단을 모두 조사해본 결과 고용부 차관과 농식품부 차관은 2년 동안 16차례 회의에 한 번도 참석하지 않았다. 복지부 장관을 비롯해 5명의 공무원 위원 출석률은 2021년 26%, 2022년 20%에 불과했다. 이는 20명 전체 위원 평균 출석률이 2021년 66.5%, 2022년 65%에 달한 것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기금운용위가 독립성마저 결여한 점도 문제로 꼽힌다. 20명 위원 가운데 총 6명이 정부 측 위원이어서 주요 기금운용 방향을 결정할 때 정부 입김이 강하게 반영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정우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부회장은 “기금운용위 구성을 민간 전문가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