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ZN.32837898.1.jpg)
김동연 경기지사(사진)가 9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검사가 아닌 '대통령의 길'을 가야한다"고 비판했다.
김 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민생회복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자'는 제목의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권력기관에 기댄 국정운영을 중단해야한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김 지사는 "안양 23평 아파트 주민의 난방비가 두 배로 오르고, 수원 대학생이 월세가 올라 자취를 포기하고 하루 3시간을 지하철에서 보내는 등 민생이 벼랑 끝에 서 있다"며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기업구조조정에 따른 대량실업,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연쇄도산, 가계부채 위기가 올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이런 문제를 풀어야 할 정치는 끝간데 없이 싸우며 오히려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고 했다.
김 지사는 민생복원과 정치복원을 위해 3가지 제안을 했다.
그러면서 "정순신 사태는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라며 "검사가 추천하고, 검사가 검증한 검찰 출신 인사가 경제를 포함한 정부 요직에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관치경제를 넘어 권치경제라는 말이 나오고 있을 뿐더러 물가, 금융, 노사관계에 이르기까지 대통령이 지시하고 검찰과 경찰이 나서는 권위주의적 관리가 일상화했다"고 했다.
그는 윤 대통령을 겨냥해 "휘두르는 칼을 내려놓고 국민 상처를 보듬어야 한다"며 "대통령은 검사가 아닌 대통령의 길의 가야한다"고 했다.
그는 "서민과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역화폐(회복), 신용보강, 금융지원 등을 확대해야한다"며 "경제위기에 가장 먼저 고통받는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망도 강화돼야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선 재정정책의 획기적 전환도 필요하다는 게 김 지사의 설명이다. 그는 "건전재정이 중요할 때가 있고, 적극재정이 중요할 때가 있는데 지금은 어려움을 겪는 가계과 기업을 위해, 앞으로 닥칠 더 큰 어려움에 대비하기 위해 재정이 역할을 해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여야정은 물론 기업 노동 지자체 경제주체가 참여하는 국가민생경제회의를 제안한다"고 했다. 대통령과 정부, 정치권 및 경제주체가 함께 대화할 때 제대로된 '국민의 길'이 만들어지고 정치복원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김 시사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선 "당 소속 광역자치단체장으로서 1년 전 정권을 빼앗길 때보다 더한 당의 위기, 국민의위기다"라며 "정부 여당과는 정책으로 경쟁하고 민생위기 극복에 당의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기업과 가계, 시장에 희망 심어주고, 원내 1 야당으로 (정부여당에) 협조할 건 하고, 잘못된 건 비판해야 거듭할 수 있다"고 했다.
김 지사는 "작금의 현실은 짧게 보는 정치가, 길게 봐야할 경제를 힘들게 하고 있다"며 "국민의 고통을 생각하면 쓸데없는 정쟁과 공허한 논쟁으로 허비할 시간이 없다"고 했다. 그는 "여야, 진보보수를 떠나 모두가 민생복원, 정치복원의 길로 가야한다"고 촉구했다.
수원=김대훈/윤상연 기자 daep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