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2.30475721.1.jpg)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건강보험에 대해 “매우 특이하다”며 재정당국이나 국회의 통제를 받아야 한다는 취지의 의견을 낸 것으로 12일 파악됐다. 의료비 지출이 빠르게 늘면서 건보 재정에 경고음이 켜진 가운데 사실상 건강보험을 기금화해 재정당국과 국회에서 지출을 통제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866198.1.jpg)
OECD는 건보 지출의 책임성과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대안으로 “건강보험 재정을 국가 예산 아래 포함하는 방법이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특히 “건강보험만 다른 사회보험과 다르게 취급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한국의 8대 사회보험 중 6개(국민연금·공무원연금·군인연금·사학연금·고용보험·산재보험)는 모두 기금 형태로 운용된다. 오직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만 기금 형태가 아니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일반회계로 관리된다.
OECD의 이번 권고는 저출산 고령화로 의료비 지출이 급증하면서 건보 재정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나왔다. 지난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 확대 정책에 따라 건보 지출은 2016년 52조6000억원에서 2021년 77조7000억원으로 5년간 47.8% 늘었다.
정부가 재정으로 메워줘야 하는 몫도 만만찮다. 현행법상 정부는 건보 수입의 20%가량을 국고에서 지원해야 한다. 올해 건보에 지원하는 예산만 11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건보 지출을 어디에 어떻게 쓸지 결정할 권한은 정부와 국회가 아니라 보건복지부 산하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가 결정한다. 이 위원회는 25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는데 의약계 대표가 8명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정부 측 위원은 위원장을 포함해 3명뿐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병원 수입의 절반 정도가 건보 급여인데, 병원이 자신의 수익원인 건보 지출 규모를 스스로 정하는 구조”라며 “이해 상충 여지가 크다”고 지적했다.
정의진/도병욱 기자 justj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