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879050.4.jpg)
외부 효과(externality)란 어느 한 사람의 행위가 제3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만, 그에 대한 대가는 지불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외부 효과엔 긍정적 외부 효과와 부정적 외부 효과가 있다. 감염병 예방 접종은 긍정적 외부 효과의 사례다. 예방 접종하는 사람은 자신의 건강을 위해 백신을 맞는다. 그런데 예방 접종한 사람이 전염병에 걸리지 않으면 주변 사람들 역시 감염 위험이 낮아진다.
유해 물질을 배출하는 공장은 부정적 외부 효과를 일으킨다. 유해 물질은 공장 근처 주민들은 물론 사회 전체에 해악을 끼칠 수 있다.
출산은 여러 가지 긍정적 외부 효과를 낳는다. 사회적으로 보면 출산은 노동력을 재생산하고, 소비 시장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아이를 키우기 위해 사회가 치르는 비용도 있지만, 그렇게 키운 아이는 납세자가 돼 국가 재정에 기여한다. 심각한 저출산은 정반대의 부정적 외부 효과를 일으킨다. 영유아 관련 산업이 위축되고, 병력 자원이 줄어들며, 재정 부담도 커진다.
정부가 쓸 수 있는 수단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규제를 가할 수 있다. 유해 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에 벌금을 매기고, 백신 접종을 안 한 사람에게 공공장소 출입 제한 등 불이익을 주는 것이다.
보다 시장 친화적인 개입 방식은 세금과 보조금이다. 부정적 외부 효과를 낳는 행동은 세금을 부과해 억제하고, 긍정적 외부 효과를 낳는 행동은 보조금을 지급해 촉진하는 것이다. 유해 물질 배출에 세금을 매기면 공장의 생산 비용이 커진다. 이에 따라 공장의 공급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다. 즉, 공장의 생산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유해 물질 배출도 줄어든다. 백신 접종에 보조금을 지급하면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즉, 더 많은 사람이 백신을 접종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생각보다 복잡하다. 김성은 세종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위 외부성과 한국의 저출산’ 논문에서 “내 아이가 다른 집 아이보다 앞서가기를 기대하는 부모들은 아이를 더 낳지 않고, 이미 태어난 아이에게 자원을 집중한다”며 “이런 현상은 한국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난다”고 진단했다. 남과 비교를 중시하는 한국의 문화적 요인을 지적한 것이다. 돈으로만 해결할 수는 없기에 더욱 어려운 숙제가 저출산이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