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896370.1.jpg)
<질문의 책>은 1973년 9월 시인이 세상을 떠나기 불과 몇 달 전에 마무리됐다. 74편의 시가 실린 이 책은 목차부터 기묘하다. 시의 제목이 번호로만 붙어 있기 때문이다. 이 시집 속 작품의 모든 연은 물음표로 끝나는데 74편의 시에 붙은 물음표가 316개에 이른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896375.1.jpg)
<질문의 책>에서 70세 시인의 궁금증을 따라가다 보면 흥미로운 질문이 곧 삶의 원동력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질문이 줄어들고 삶이 심드렁하게 느껴진다면 네루다의 질문을 따라가며 나의 호기심을 발동시켜보자.
작품 44에서 시인은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아직 내 속에 있을까 아니면 사라졌을까?’라고 질문하지만 시를 읽다 보면 ‘그 아이’가 칠십이 된 시인 속에 고스란히 살아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어떤 정보나 지식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대단히 시적이거나, 엉뚱한 상상에서 비롯된 질문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산에 대한 질문도 자주 등장한다. 작품 8의 ‘냉혹하고 사납게 불을 내뱉는/화산들을 뒤흔들어 놓는 건 뭘까?’라는 질문은 많은 사람이 궁금해하는 요소다. 작품 69의 ‘사랑에 대한 생각은/꺼진 화산 속으로 떨어지나?/분화구는 복수 행위인가/아니면 지구의 벌인가?/바다에 닿지 못하는 강들은/어떤 별들과 이야기를 계속할까?’를 접하면 화산을 뒤흔든 건 이루지 못한 사랑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작품 22 ‘사랑, 그와 그녀의 사랑,/그게 가버렸다면, 그것들은 어디로 갔지?’는 연인과 헤어진 사람들이 가장 던지고 싶은 질문일 것이다. 어쩌면 그 사랑들이 뭉쳐 분화구가 부글부글 끓어 넘치는 게 아닐까. 가슴 아픈 이별을 경험한 사람들은 이런 단정을 내릴 듯하다.
유머러스한 질문도 있다. 작품 14 ‘왜 목요일은 스스로를 설득해/금요일 다음에 오도록 하지 않을까?’ 이 질문은 자칫 원망을 들을 수도 있다. 금요일 다음에 목요일이 오는 건 모두 싫어할 테니까. 작품 40 ‘비둘기들이 노래할 줄 안다면/비둘기장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파리들이 꿀을 만든다면/그들은 벌들을 화나게 할까?’를 읽으면 인상을 찡그릴 수도 있다. 비둘기가 많아 날아오르기만 해도 시끄러운데 만약 노래할 줄 안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요즘 벌이 많이 줄어서 깨끗한 파리가 꿀을 만든다면 사람들은 환영할 게 분명하다.
1904년 칠레 파랄에서 태어나 열 살 때 시를 쓰기 시작한 네루다는 1971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대단한 작가인 그는 작품 31에서 ‘누구한테 물어볼 수 있지 내가/이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게 하려고 왔는지?’라고 묻는다. 수많은 작품을 남긴 네루다는 작품 21에서 ‘내가 내 책에 대해 물을 수 있을까/그걸 정말 내가 썼는지?’라고 질문한 뒤 작품 32에서 ‘파블로 네루다라고 불리는 것보다 더/어리석은 일이 인생에 있을까?’라고 말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26119914.1.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