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총리는 2015년 외무상으로 한·일 위안부 협정을 총괄했던 만큼 한국 내 ‘죽창가 세력’의 존재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여기에다 일본 여론도 대부분 ‘성의 있는 호응 조치’를 주문하는 쪽이다. 그럼에도 그는 물컵의 나머지 반을 채우는 데 소홀했다. 전경련과 게이단렌이 주최한 14년 만의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행사에 모습을 보이지 않은 점도 실망스럽다. 윤 대통령은 물론이고 전경련 회원사가 아닌 국내 4대 그룹 총수까지 총출동했지만 기시다 총리는 정상 참석 관례를 깨고 불참했다. 일본제철 등 징용배상 소송 피고 기업의 불참 역시 씁쓸한 뒷맛을 남겼다.
“기대와 호응 간 차이가 커지면 향후 양국 관계의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아사히신문)는 지적을 기시다 총리는 명심해야 한다. 정상회담을 “한·일 관계 정상화를 향한 큰 발걸음”으로 평가하고 환대한 그의 호의를 아직은 믿고 싶다. 4월 지방선거, 7~9월로 예상되는 방한 등의 정치적 일정을 고려한 일본 측의 후속조치를 기대한다. 한국 정부 역시 징용피해자와 국민에 대한 적극적인 설득 작업으로 모처럼 생긴 기회를 살려 나가야 할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