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951676.1.jpg)
고금리 예금상품 가입이 쉽다는 게 인기를 끈 배경으로 꼽힌다. 새마을금고와 신협의 예·적금은 지난 1월 말 기준 393조원에 달한다. 지난해 말부터 한 달 새 9조원이 새로 유입됐다.
그만큼 유동성 이탈도 쉬워졌다. 문제는 예·적금 규모가 1000억원을 밑도는 소형 조합이 많다는 점이다. 신협은 개별 조합 가운데 절반 이상이 자산 1000억원 미만이다. 새마을금고도 세 곳 중 한 곳꼴로 자산이 1000억원에 못 미친다. 1000억원 단위 예금이 유입되면 소형 조합으로선 이자 부담을 감당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예금이 500억원 빠져나가면 파산하거나 다른 조합과의 합병 절차를 밟게 된다. 유동성 비율이 낮은 조합이 적지 않아 일시적인 예금 유출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다른 금융업권 대비 조합들의 이자 부담이 커진 것도 우려되는 대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 들어선 은행과 저축은행 수신금리가 낮아져 작년 하반기만큼 유동성 이탈이 심각하지는 않지만 그때 올린 수신금리가 비용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