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968215.1.jpg)
경기신용보증재단은 전국 최초로 1996년에 설립된 지역신용보증재단이다. 올해로 창립 27주년을 맞아 지역신보의 시작점으로 전인미답의 길을 걸어왔다. 이는 지역신보의 롤모델로 자리해 도내 중소기업, 소상공인과 희로애락을 함께하며 지역신보의 리더로서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경기신보는 창립 이후 1997년 IMF 외환위기,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2022년도는 총체적 위기 상황이었다. 여기에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내수 부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부자재 가격 폭등 및 내수경제 부흥을 위한 무리한 양적 완화 등이 초래한 3중고(고금리·고물가·고환율) 복합위기로 인해 바닥경제를 지탱하는 영세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은 벼랑 끝 위기로 내몰릴 수밖에 없었다.
시석중 경기신보 이사장은 “신보는 위기 속에서도 금융 사각지대 없는 따뜻한 금융 추진을 위해 저소득 소상공인 등 영세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전국 최초로 보증료 없는 ‘다드림론’과 마이너스통장 대출보증을 지원하는 ‘경기 소상공인 코로나19 극복통장’ 등의 저금리 보증상품을 시행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결과적으로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기 어려워 한계상황으로 내몰린 금융 취약계층에 최소한의 금융비용으로 적시에 저리 자금을 융통해 적기에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경제적 자활을 지원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강조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968216.1.jpg)
특히 경기신보는 갈수록 악화되는 경제 여건 속에서 ‘돈맥경화’에 빠진 경기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금융 버팀목으로서 역할에 충실하고자 적극적인 보증지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2020년 5조6408억원, 2021년 5조3521억원, 2022년 6조4663억원 등의 보증공급 실적을 기록하며 2023년 현재 전국 지역신보 중 최초이자 최대인 누적보증 공급금액 45조원을 돌파하는 등 지역경제 긴급 안정과 활력 회복을 위해 쉼없이 달리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AA.32968217.1.jpg)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 법정 출연제도인 의무출연요율 상향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의무출연제도란 시중은행 등 금융기관이 대출 잔액의 일정 수준을 의무적으로 보증기관에 출연하는 제도로, 2006년 법정 의무출연요율 도입 이후 지역신보는 신용보증기금(0.225%), 기술보증기금(0.135%)보다 현저히 낮은 0.04% 출연요율을 지원받고 있는 관계로, 보증 잔액(2022년 말 기준 신용보증기금 61.4조원, 지역신보 46.6조원, 기술보증기금 26.5조원) 대비 출연요율의 형평성 제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시 이사장은 “최근 고금리·고물가로 소기업·소상공인들이 벼랑 끝으로 내몰린 가운데 금융안전망이자 버팀목인 지역신보가 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보증여력을 확충할 수 있도록 보증기관의 보증잔액 및 대위변제 규모 등을 고려해 출연요율 상향이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렇듯 경기신보는 신용보증 공급원이자 지속 성장 동력원인 기본재산을 꾸준히 확충함에 따라 중단 없는 보증공급을 실시하며 타 지역신보의 모범 사례로 거듭났다.
시 이사장은 “전국 지역신보 ‘최대’이자 ‘최초’인 기본재산 1조원을 달성한 경기신보의 도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도민에게 기회와 성공을 보증하는 금융혁신 파트너가 돼 도민들의 금융 버팀목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