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10년대 중반 이후부터 매년 크고 작은 ‘공모펀드 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수수료가 싼 온라인 판매망을 도입했으며 자투리 펀드를 없앴고 펀드 공시도 대폭 강화했다. 그런데도 공모펀드 시장이 갈수록 위축되는 상황을 돌리지 못했다.
운용업계는 정부가 공모펀드 세제 혜택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근엔 ETF로 상장하면 공모펀드를 살릴 수 있을 것이란 요구도 하고 있다.
고유 자금 34억원을 펀드에 투입해 공모펀드 최초로 손익차등형 구조를 짠 게 주효했다. 펀드 손실은 10%까지는 운용사만 보고 수익이 나도 15%까진 운용사가 보수(수수료)를 받지 않는다. 15%를 넘는 수익이 나면 그제야 초과 수익의 35%를 성과 보수로 받는다. 공모펀드도 경쟁력만 있으면 얼마든지 인기를 끌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한 것이다.
사실 손익차등형 펀드는 공모만 처음이었지 사모 및 일임자문 형태로는 이미 3~4년 전부터 인기를 끈 상품이다. 성과연동형 보수는 더욱 오래된 유형이다. 플러스 수익을 내야만 그 수익의 20~30%를 운용보수로 받는 사모 및 일임자문 펀드는 수두룩하다.
문제는 사모·일임자문은 3억~5억원 이상의 고액 자산가만 누릴 수 있는 상품이란 점이다. 일반 샐러리맨도 소액으로 믿고 맡길 수 있는 주식형 공모펀드를 다시 활성화해야 하는 이유다. 노후 대비를 위한 장기 자산 운용 필요성이 갈수록 높아지는 상황에선 더 그렇다. 모든 개인이 2400개에 달하는 유가증권·코스닥 상장주식과 700개에 달하는 ETF 중 유망 종목·테마를 스스로 골라 적정 매도 타이밍을 잡아가며 장기간 수익을 낼 수는 없다.
운용업계와 금융당국은 성과 연동이 한층 강화된 공모펀드시장이 조성되도록 노력하고 제도도 만들어야 한다. 우수한 펀드매니저가 다시 돌아와야 공모펀드도 살아나고 고객도 돌아올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