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AA.33146696.1.jpg)
△2023년 음력 날짜: 음력 1월 1일(양력 1월 22일), 음력 2월 1일(양력 2월 20일), 음력 윤2월 1일(양력 3월 22일), 음력 3월 1일(양력 4월 20일), …. △24절기: 소한 1월 6일, 대한 1월 20일, 입춘 2월 4일, 우수 2월 19일, ….
지난해 6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다음 해 달력 제작의 기준으로 삼을 보도자료를 하나 배포했다. ‘2023년 월력요항’이 그것이다. ‘월력(月曆)’은 ‘달력(-曆)’과 같은 말이다. ‘월력요항’에는 천문역법에 따른 양력과 음력 날짜, 24절기, 명절, 공휴일 및 각종 기념일 등의 자료가 담긴다. 과기정통부 산하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여름 발표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윤이월’이 표제어로 올라 있다. 윤달은 윤이월뿐만 아니라 윤삼월도 있고, 윤사월도 있고 연말·연초를 빼곤 달마다 다 있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윤이월만 있고 다른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외려 ‘윤사월’은 윤달 중에서도 우리 귀에 익은 말이라 표제어로 올릴 만하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은 ‘윤사월’을 올림말로 다뤘다. 윤사월이 유난히 우리에게 친근한 까닭은 만화방창한 이 계절을 노래한 문학예술 작품이 많기 때문인 듯하다. 고즈넉한 봄날 산속 정경과 그리움을 애잔하게 읊은 박목월의 시 ‘윤사월’이 유명하다. 김동리의 단편소설 ‘윤사월’도 널리 알려져 있다.
윤달은 대략 5년에 두 번꼴, 즉 2~3년에 한 번씩 드는데 어떤 달에 윤달을 넣을지는 천문연구원에서 결정한다. 윤달이 든 해는 대개 절기상 입춘이 앞뒤로 두 번 든다. 입춘은 보통 설 직후에 드는데, 윤달로 한 달이란 기간이 더해지다 보니 다음 해 설이 돌아오기 전에 입춘이 또 드는 것이다. 예컨대 올해 설은 양력 1월 22일이었고 그 13일 뒤인 2월 4일이 입춘이었다. 내년(2024년)에는 설이 2월 10일인데 새해 입춘은 그 전인 2월 4일에 다시 든다.
쌍춘년은 국어사전에 없는 말이다. 언론에 등장한 지도 20년이 채 안 된다. 대략 2006년을 전후해 나타나기 시작했다. 원래 있던, 예전부터 쓰던 우리말이 아니라는 뜻이다. 일각에서는 각종 ‘00데이’처럼 다분히 상업적 필요에 따라 의도적으로 부각된 말이라는 지적도 있다. 그런 점에서 ‘쌍춘년’이 우리말 안에서 뿌리를 내릴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윤달은 음력 날짜와 실제 계절과의 차이를 메우기 위해 ‘원달’에 덤으로 얹는 달이다. ‘공달(空-)’이다 보니 나쁜 액이 없다는 속설이 생겼다. 그래서 윤달은 ‘손 없는 달’이라고도 불린다. 이때의 ‘손’은 민속에서 날짜에 따라 방향을 달리해 따라다니면서 사람 일을 방해한다는 귀신을 가리키는 고유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AA.27975217.1.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