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99.32247394.1.jpg)
지난해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이 감소세를 보였다. 경기 침체 영향으로 다운로드와 지출 모두 줄었다.
14일 데이터 분석 플랫폼 데이터에이아이(옛 앱애니)가 발표한 2023년 모바일 게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모바일 게임은 총 900억건 다운로드됐다. 게임에 쓴 돈은 1100억달러(약 144조원)에 달했다. 다운로드 규모는 전년 대비 8% 늘었지만, 지출액은 5% 감소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168856.1.jpg)
데이터에이아이는 “시장이 다양화되면서 다운로드 수는 늘었지만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게임에 돈을 덜 쓰게 됐다”고 분석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168857.1.jpg)
한국도 경기 침체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다운로드 수는 전년 대비 7000만건 감소한 5억1000만건, 지출은 5억달러(약 6500억원) 줄어든 53억달러(약 6조9000억원)였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168854.1.jpg)
연령과 성별에 따라 선호 게임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18~24세 유저 사이에서 월간 활성 이용자(MAU)가 많은 게임은 로블록스, 브롤스타즈, 무한의 계단 순서였다. 25~34세는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이 1위를 차지했고 45세 이상 그룹에선 네오위즈의 피망 뉴맞고, 한게임 신맞고가 나란히 1, 2위에 올랐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168851.1.jpg)
남성 게이머가 즐긴 게임은 브롤스타즈, 포켓몬고, 마인크래프트 순서인 반면 여성 게이머는 로블록스, 무한의 계단, 쿠키런:킹덤을 많이 즐겼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168852.1.jpg)
국내 게이머들이 가장 돈을 많이 쓴 게임 장르는 역할수행게임(RPG)으로 한 해 동안 36억달러(약 4조7000억원)에 달했다. RPG 가운데서도 MMORPG 장르가 25억달러(약 3조2000억원)를 차지했다. 엔씨소프트의 리니지W, 리니지2M, 카카오게임즈의 오딘: 발할라 라이징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