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036931.1.jpg)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을 맞은 호텔업계가 스테이케이션(머물다+휴가)과 워케이션(일+휴가)에 주목하고 있다. 해외여행이 늘어나는 가운데 일과 함께 호텔을 찾는 장기 호캉스(호텔+바캉스)객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분산오피스 ‘집무실’ 운영사 알리콘과 손잡고 지난 7일부터 한화리조트 제주에 워케이션을 위한 '워크 스테이'를 운영하고 있다. 일과 휴가의 합성어인 워케이션은 휴양지에서 업무와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지역체류형 근무를 뜻한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워크 스테이를 라는 한화리조트와 집무실 회원은 정상가의 절반 가격에 사용할 수 있게 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 관계자는 "전국에 운영 중인 호텔과 리조트의 유휴 공간을 활용해 외부 고객도 이용할 수 있는 워크 스테이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화리조트 제주의 워크 스테이는 돌집으로 지역색을 살렸고 숲과 정원, 야외 산책로를 조성했다. 단체가 사용 가능한 라운지와 1인 전용 공간 등을 갖췄다. 라운지는 10~15인용 테이블과 회의용 모니터 등을 구비해 팀 단위 업무도 무리가 없다고 소개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173153.1.jpg)
메종 글래드 제주도 다음달 말까지 업무와 휴가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일하멍 쉬멍 놀멍 패키지’를 운영한다. 일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주중 3박 이상 기준으로 투숙 가능하다. 업무와 휴가를 동시에 즐기는 수요를 겨냥한 것으로 야외 수영장, 부대시설 이용권 등 혜택을 포함했다.
제주뿐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호텔에서 레이트 체크 아웃 서비스를 제공해 일과 함께 호캉스를 즐길 수 있는 상품이 줄을 잇고 있다.
서울 용산 소재 서울드래곤시티가 6월 말까지 운영하는 ‘룸콕 패키지’의 경우 오후 2시 체크 아웃과 함께 다양한 콘텐츠 감상을 내세운 상품이다. LG전자 및 소니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코리아와 손잡고 기획한 패키지를 예약하면 호텔방 안에 비치된 ‘플레이스테이션5’ 게임기와 홈 시네마 등을 활용해 휴식을 즐길 수 있다.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은 최대 27시간 동안 투숙 가능한 ‘24시간 스테이케이션’ 패키지를 내놨다. 통상 익일 오전에 방을 비워줘야 하는 기존 패키지와 달리 오후 6시까지 투숙 가능한 상품이다. 조식 뷔페 이용 시 50% 할인 혜택을 준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173150.1.jpg)
호텔업계는 일본과 중국 항공 노선이 살아나면서 해외 여행 수요가 늘어나자 투숙객 확보를 위해 워케이션, 스테이케이션을 앞세우고 있다. 국내 대기업과 정보기술(IT) 기업을 중심으로 리프레시 휴가가 복리후생으로 자리잡는 분위기를 감안한 행보다.
SK텔레콤은 올 1월부터 직원 근속년수 5년마다 최장 30일의 리프레시 휴가를 주는 제도를 도입했고, KT도 지난해 5년 근속 보상제도를 신설했다. 지방에서는 이같은 기조를 반기는 분위기다. 일례로 부산시는 지난 2월 역외기업 임직원에게 업무공간과 기업 간 네트워킹 공간 등을 제공하는 '부산형 워케이션 거점센터'를 열기도 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ZA.32817531.1.jpg)
국제선 여객 회복세가 뚜렷한 반작용으로 국내 관광지를 잇는 국내선 노선은 감소하고 있다. 대표적 코로나19 수혜 관광지인 제주의 경우 1분기 김포~제주 노선 운항횟수는 지난해 1분기보다 8.9% 감소했다. 반면 인천국제공항의 올 1분기 국제선 운항횟수와 여객 수는 급증해 코로나19 사태 이전의 60%대 수준까지 회복된 상태다. 1분기 국제선 여객 수는 1143만2000명으로 지난해 1분기의 약 10.5배로 급증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172086.4.jpg)
다행히 국내 수요는 비교적 탄탄하다. 제주의 경우 1분기 김포~제주 노선 운항횟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관광객 유입은 꾸준한 추세다.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1분기 김포~제주 노선 운항횟수는 줄었으나 여객인원은 1.2% 증가한 43만6184명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의 '최근 제주지역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3월 중 제주를 찾은 관광객수는 107만3000명으로 지난해 3월보다 20만명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내국인 관광객수가 봄철 제주여행 증가 및 기저효과 등에 따라 소규모 단체관광 중심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