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179288.1.jpg)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시장이 완만한 저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최근 펼쳐진 순환매 혹은 금융장세도 끝나 가는 분위기다. 여의도 투자 고수들은 시장이 조만간 가치주 장세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검증된 이익 창출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이 의장이 이렇게 판단하는 이유는 시장 금리가 높으면 성장주의 상대적 매력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성장주는 먼 미래의 예상 수익이 주가에 반영되는데, 고금리 환경에서는 기대 이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했을 때 할인되는 폭이 커져 주가가 힘을 받기 어렵다. 반면 가치주는 현실화된 혹은 비교적 머지 않은 미래에 현실화될 이익 창출 능력을 중시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에서 자유롭다.
박정구 가치투자자문 대표는 “경기가 안 좋고, 시장 유동성이 확대되지도 못하는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안정적으로 이익을 내는 회사의 주식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준철 VIP자산운용 대표도 “반도체, 배터리 등에 대한 순환매가 끝나고 실적 장세가 오면 가치주가 힘을 받을 전망”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가치주가 반등하는 시기는 언제일까. 전문가들은 올 2분기에서 하반기 정도로 전망하는 사람이 많았다.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대표는 “이르면 올 2분기부터 가치주가 시장 평균 대비 좋은 성과를 보여줄 것”이라며 “분야별로는 배당수익률이 높은 지주회사나 금융사 등의 주가가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 의장은 “소비가 위축되는 국면이기 때문에 소비재보다는 산업재에 주목해야 한다”며 “특히 내수경기가 꺾인 상태이기 때문에 하반기에는 수출 경쟁력이 있는 종목, 정부 주도 사업의 수혜를 볼 수 있는 종목의 주가가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박 대표는 “임플란트주, 골판지주, 화장품 원재료주 가운데 주가가 저평가된 종목이 많다”며 “중국 리오프닝과 관련해 실적이 턴어라운드할 수 있는 종목을 찾는 것도 좋은 투자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최 대표는 “지난해와 올해 주주총회에서 행동주의에 의한 주주가치 제고 움직임이 많이 관찰됐다”며 “이런 움직임이 앞으로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실적이 좋으면서도 이런 움직임의 수혜를 볼 수 있는 기업을 찾는 게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의장은 “창업주 2세로의 경영권 승계가 끝난 대기업 지주회사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영권 승계를 아직 하지 않은 회사는 경영진이 주가 상승을 달가워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가가 오르면 상속세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는 “승계를 끝낸 회사는 2세가 상속세 재원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배당을 적극적으로 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양병훈 기자 hun@ha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