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ZN.33112850.1.jpg)
16일 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여당과 정부는 이번 주 후반쯤 당정 협의회를 열고 4월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과 인하율 조정 방안을 발표한다.
정부는 작년 4월까지 유류세를 20%를 인하하다가 키워 같은 해 7월부터 37%까지 확대했다. 그러다가 지난해 12월 휘발유의 인하율은 25%로 축소하고 경유 인하율은 37%로 유지했다. 이같은 유류세 인하 조치는 이달 말 종료될 예정이었다.
유류세 인하는 3년 동안 거듭 연장했다. 정부는 재정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인하 폭을 이보다 축소하면서 단계적으로 폐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휘발유·경유 인하 폭을 25%로 맞추거나 휘발유·경유 인하 폭을 15∼20%까지 일괄적으로 낮추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또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추 부총리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방문한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13일(현지시간) 동행기자단 간담회를 열고 "유류세 운영 방안을 이번 주 중 결정하겠다"며 "국내 재정 상황 등도 고려해야 하지만 최근 OPEC+(러시아 등 비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에서 감산을 결정해 국제유가 불확실성이 커졌기에 이에 따른 민생 부담도 다시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유류세 인하 조치로 줄어든 세금(교통·에너지·환경세)은 작년 한 해만 5조5000억원으로 추산한다. 올해는 세입 예산 대비 세수 부족이 사실상 확정된 상태다. 추 부총리는 '유류세 관련 정책 결정을 할 때 세수 상황을 고려할 것이냐'는 질문에 "재정 상황도 봐야 하지만 민생이라는 문제가 한쪽에 늘 있다"고 답했다.
국민 부담이 있기에 섣불리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올해 국제유가는 지난달 실리콘밸리은행(SVB) 위기 등을 겪으며 한때 배럴당 60달러대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 OPEC+의 감산 계획이 전해지면서 다시 배럴당 80달러를 돌파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추 부총리는 "1분기에는 (세수 상황이) 녹록지 않다. 이게 한 해 어떻게 갈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현재로선 추경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