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AA.33169442.1.jpg)
1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귀포 대정읍 ‘한화포레나 제주 에듀시티’(투시도) 전용 99㎡ 분양권은 지난달 9억2487만원에 거래됐다. 직전 거래가(9억3287만원)보다 800만원가량 떨어진 가격이지만 제주 집값 내림세에 비해선 낙폭이 적은 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제주도 아파트 가격은 올해 들어 이달 둘째주(10일 기준)까지 누적 기준 2.41% 내렸다. 지난달 말 -0.13% 하락률을 나타내던 제주 아파트값은 이달 들어 -0.18%로 낙폭이 커졌다. 제주시 노형동 ‘노형 아이파크’ 전용 75㎡는 지난달 6억8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작년 5월 7억9000만원)보다 1억1000만원 내렸다. 제주시 도남동 ‘도남e편한세상1차’ 전용 120㎡도 최근 6억5300만원에 계약이 이뤄져 작년 6월 신고가(8억500만원)를 크게 밑돌았다.
서귀포 역시 매수세 위축은 피하지 못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선방하는 배경으로 영어교육도시가 꼽힌다. ‘한화포레나 제주에듀시티’ 전용 136㎡는 올초 14억1091만원(신고가)에 거래됐다. 역대 제주도 최고가 아파트 3위에 해당하는 가격이다. 이 단지는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제주(SJA), 노스런던칼리지에잇스쿨 제주(NLCS), 브랭섬홀아시아(BHA), 한국국제학교 제주 캠퍼스(KIS) 등 국제학교만 네 곳이 몰린 제주영어교육도시와 차로 5분 거리에 있다.
기존 국제학교와 인접한 단지도 매수세 위축이 덜한 편이다. 대정읍 ‘라온프라이빗에듀’ 전용 59㎡도 지난달 4억6000만원에 거래돼 직전 거래가(작년 8월 4억9000만원)보다 3000만원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이 단지 전용 84㎡는 지난 2월 전세 보증금 5억5000만원(최고가)에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서귀포에서 외지인 주택 매입 비중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작년 한 해 서귀포 주택 거래량 2634건 중 1077건(40.8%)이 외지인 거래였다. 제주시는 전체 5796건 중 외지인 비중이 20.9%(1209건) 수준이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