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세대 입맛 잡은 진라면…오뚜기 "결국 1등 된다" 자신

입력 2023-04-18 17:32   수정 2023-04-19 00:46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이 팔리는 게 진라면은 아닙니다. 이렇게 맛있는데 언젠가 1등 하지 않겠습니까.”

2005년 나온 오뚜기 진라면 광고 속 멘트다. 후발주자지만 끊임없는 연구개발(R&D)을 통해 정상에 도전하겠다는 오뚜기의 포부가 담겼다.

18년 전 오뚜기의 이 진심은 현실화하고 있다. 오뚜기는 2017년부터 점유율 20%대 중후반을 유지하며 국내 시장에서 ‘부동의 1위’ 농심을 견제하는 유일한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탄탄한 미래 고객층 확보
라면업계에서 오뚜기를 위협적으로 보는 건 오뚜기 라면의 저변이 1020세대 전반에 뿌리 깊게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용기라면 시장의 약진이 이를 잘 드러낸다”는 게 유통·식품업계의 설명이다. 용기라면은 봉지라면보다 훨씬 쉽게 요리할 수 있어 1020세대가 편의점에서 많이 찾는 상품이다.

18일 편의점 GS25에 따르면 올해 1~3월 오뚜기 용기라면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40.5%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용기면 평균 매출 증가율(28.1%)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오뚜기 용기라면을 선택한 1020세대 소비자 비중이 타제품보다 5%포인트 높은 37%로 집계됐다.

다른 가공식품도 그렇지만 특히 라면은 소비자의 취향이 웬만하면 바뀌지 않는 특징이 있다. 1983~1986년에 잇달아 나온 농심의 ‘신라면’ ‘짜파게티’ ‘안성탕면’ 3총사가 아직도 ‘빅3’ 자리에서 내려오지 않는 게 이를 방증한다.

이를 감안하면 일찍이 오뚜기 라면 맛에 길든 젊은 소비자가 앞으로도 해당 제품을 구매하는 충성도 높은 소비자가 될 공산이 크다는 게 식품업계의 시각이다. 오뚜기도 젊은 취향의 마케팅에 공들이고 있다. 진라면 출시 35주년이었던 지난해에는 거액의 모델료를 들여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멤버 진을 새 광고 모델로 선정하기도 했다.
종합식품사 시너지 발휘
오뚜기가 보유한 라면 라인업은 진라면을 비롯해 ‘참깨라면’ 등 85종에 달한다. 농심(98종)과 비교해도 적잖은 숫자다. 오뚜기가 이처럼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었던 데엔 종합식품기업이란 정체성이 영향을 미쳤다.

참깨라면만 하더라도 달걀, 참기름 등 식자재에 관한 깊은 이해가 없었더라면 성공하기 어려웠을 것이란 게 오뚜기의 자체 평가다. 참깨라면은 다른 라면과 달리 면, 건더기에 더해 달걀 블록과 조미 참기름이 포함돼 고소한 맛이 극대화된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라면 맛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엔 오너의 강력한 리더십도 한몫했다. 함영준 오뚜기 회장(사진)이 라면 맛 개선을 위해 주기적으로 경영진과 함께 시식회를 여는 것은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오뚜기는 함 회장의 진두지휘 아래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진라면 맛을 세 차례 개선했다. 이때 진라면 매출은 2011년 700억원에서 2013년 1040억원으로 급증했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