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나온 오뚜기 진라면 광고 속 멘트다. 후발주자지만 끊임없는 연구개발(R&D)을 통해 정상에 도전하겠다는 오뚜기의 포부가 담겼다.
18년 전 오뚜기의 이 진심은 현실화하고 있다. 오뚜기는 2017년부터 점유율 20%대 중후반을 유지하며 국내 시장에서 ‘부동의 1위’ 농심을 견제하는 유일한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AA.33201426.1.jpg)
18일 편의점 GS25에 따르면 올해 1~3월 오뚜기 용기라면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40.5%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용기면 평균 매출 증가율(28.1%)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오뚜기 용기라면을 선택한 1020세대 소비자 비중이 타제품보다 5%포인트 높은 37%로 집계됐다.
다른 가공식품도 그렇지만 특히 라면은 소비자의 취향이 웬만하면 바뀌지 않는 특징이 있다. 1983~1986년에 잇달아 나온 농심의 ‘신라면’ ‘짜파게티’ ‘안성탕면’ 3총사가 아직도 ‘빅3’ 자리에서 내려오지 않는 게 이를 방증한다.
이를 감안하면 일찍이 오뚜기 라면 맛에 길든 젊은 소비자가 앞으로도 해당 제품을 구매하는 충성도 높은 소비자가 될 공산이 크다는 게 식품업계의 시각이다. 오뚜기도 젊은 취향의 마케팅에 공들이고 있다. 진라면 출시 35주년이었던 지난해에는 거액의 모델료를 들여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멤버 진을 새 광고 모델로 선정하기도 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AA.33204232.1.jpg)
참깨라면만 하더라도 달걀, 참기름 등 식자재에 관한 깊은 이해가 없었더라면 성공하기 어려웠을 것이란 게 오뚜기의 자체 평가다. 참깨라면은 다른 라면과 달리 면, 건더기에 더해 달걀 블록과 조미 참기름이 포함돼 고소한 맛이 극대화된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라면 맛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엔 오너의 강력한 리더십도 한몫했다. 함영준 오뚜기 회장(사진)이 라면 맛 개선을 위해 주기적으로 경영진과 함께 시식회를 여는 것은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오뚜기는 함 회장의 진두지휘 아래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진라면 맛을 세 차례 개선했다. 이때 진라면 매출은 2011년 700억원에서 2013년 1040억원으로 급증했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