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220071.1.jpg)
지난 19일 중국 광둥성 둥관의 화웨이 연구개발(R&D)센터. 약 125만㎡의 부지에 2018년 완공된 이 곳은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의 R&D에 대한 집착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시설이다.
2만5000여명의 연구 인력들은 유럽의 도시 이름을 딴 12개 단지에 각각 분산해서 근무한다. 각 단지는 하나의 R&D 본부다. 통신,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등 화웨이 주력 사업의 연구가 대부분 이 곳에서 진행된다.
단지들에는 독일 하이델베르크, 영국 옥스퍼드, 이탈리아 볼로냐 등 각국에서 대학이 가장 먼저 들어선 도시의 이름을 붙였다. 각 단지에는 도시의 성이나 대학 등 그 지역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건물과 정원이 들어서 있다. 각 단지 사이는 빨간색 전기 트램이 운행한다. 단지 위로 자동차가 다닐 수 없기 때문에 직원들은 트램을 주로 활용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220125.1.jpg)
회사 관계자는 "런 CEO는 언제나 직원들에게 유럽과 미국에서 배워야 한다고 강조한다"며 "각 단지에 유럽의 연구 중심 도시 이름을 붙인 것도 연구를 중시하는 문화를 다지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화웨이의 작년 말 기준 전체 직원 수는 20만7000여명. 이 가운데 55%인 11만4000명이 연구 인력이다. 본사가 있는 선전에는 둥관보다 더 큰 132만㎡ 규모의 연구소가 있다. 상하이에선 스마트카 연구소를 별도로 운영한다.
화웨이는 지난해 1615억위안(약 31조1400억원)을 R&D에 투입했다. 전체 매출의 25.1%에 달하는 금액이다. 금액과 비율 모두 1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의 제재를 R&D로 뚫겠다는 전략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유럽연합(EU)이 지난해 말 발간한 'R&D스코어보드 2022'에 따르면 화웨이는 글로벌 기업 가운데 R&D 지출 규모 4위에 올랐다. 미국의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다음이다. 애플, 삼성전자, 폭스바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화웨이는 미국 제재 이후 78종의 핵심 기술을 선정해 독자 개발에 나섰다. 이후 미국 반도체 수출통제의 핵심 중 하나인 고성능 반도체 설계소프트웨어(EDA)의 국산화에 성공하는 등 11종의 기술을 개발했다. 또 자사 제품의 핵심 부품 1만3000여개를 국산으로 교체하고, 회로기판 4000여종을 재설계하기도 했다.
화웨이는 지난해에 전년 대비 0.9% 커진 6423억위안의 매출을 올렸다. 2021년 -28.6% 급감했던 매출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다만 지난해 순이익은 69% 감소한 356억위안에 그쳤다.
둥관=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관련뉴스